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스페셜
"
DNA
"(으)로 총 6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조건으로 데이터를 공개했다.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제공 1953년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DNA
이중나선구조를 밝힌 제임스 왓슨은 1980년대 인간게놈해독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힘을 보탰고 2008년에는 자신의 게놈을 해독해 공개했다. 개인 게놈으로는 셀레라의 크레이그 벤터에 이어 두 번째였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75년 전 개발 ‘트랜지스터’가 가져온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트랜지스터는 통신 혁명, 컴퓨터 혁명 등을 가져왔다.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DNA
분석을 가능케 하고 인공지능(AI)으로 발전했다. 특히 1960년대 인류 달 착륙 프로젝트인 ‘아폴로’ 프로젝트에서도 우주선을 제어하는 복잡한 미션을 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사이언스는 “지난 75년 동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왼쪽) 거울상
DNA
바코드는 1년 뒤에도 온전하다(오른쪽). 각종 시료의 정보를 담은 거울상
DNA
바코드가 조만간 널리 쓰이지 않을까.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on Recombinant
DNA
Molecules. Science. Vol 18(4192), 991-994 3. Sally Smith Hughes, Herbert Wayne Boyer. Recombinant
DNA
Research at UCSF and Commercial Application at Genentech. Andesite Press, 2015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 날개 패턴 만든 고대 유전자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제어하는 생체 내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DNA
와 결합하는 전사 인자를 조절하는 ‘시스 조절 요소(CRE)’라는 부위에서 유전자 특성이 발현되거나 유전자가 발현되는 장소나 시기, 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생명체가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여전히 여의도 면적의 1.5배가 넘는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거제수나무 엽록체
DNA
유전자 지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거제수나무는 백두대간을 따라 600m 이상 높은 산에서 자라는 나무이다. 고산의 서늘한 기후에 적응해 살아가는 거제수나무는 덥고 건조해지는 환경변화에 따라 멸종 ... ...
[노벨상 2022] 암 표적 찾는 신약에 기여...'클릭화학' 연구자 3인 화학상(종합)
2022.10.05
생리학적 환경에서 외부에서 투입된 물질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뜻한다.
DNA
합성이나 RNA 백신 기술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노벨상위원회 제공 이번 노벨상 수상자 중 샤플리스 교수는 과학상 중 역대 4번째로 두 번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화학 분야에서는 1958년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이번 인공세포 역시 생명체의 전제인 세포 분열을 통한 증식과는 거리가 멀다.
DNA
와 히스톤 단백질로 이뤄진 인공핵은 겉모습만 진핵세포의 핵과 비슷할 뿐 게놈 복제나 유전자 전사 같은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한다. 세포호흡을 담당할 미토콘드리아 대응 구조 역시 넣어준 대장균이 진짜 살아있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유전자 지도를 해독한 것이다. 당시 데니소바인의 손가락 부분 뼈에서 채취한 손상된
DNA
를 재조합했다. 노벨상위원회 제공 고인류 유전체는 인류 진화의 이해 외에도 우리의 건강과 복지에 대한 유전학 연구에도 큰 함의를 갖는다. 사람들 사이의 유전적 차이가 질병 감수성, 약과 치료에 대한 반응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이 약 80만년 전에 살았다는 것을 입증했다. 네안데르탈인의
DNA
염기서열은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현대인보다 유럽이나 아시아에서 기원한 현대인의 염기서열과 더 유사했다는 것도 주된 연구 성과다. 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소장은 “2020년 페보 박사는 인간 게놈의 0.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