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DNA"(으)로 총 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2023.06.14
- 다양한 경로에 개입해 세포 노화를 늦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노화를 촉진하는 DNA 손상, 활성산소, 염증반응 등을 직간접적으로 억제하고(빨간 선), 젊음을 유지하는 줄기세포재생, 자가포식, 후성유전 패턴 안정화 등을 돕는다(녹색 선). 다만 분자 차원의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잘 모른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2023.05.31
- 대신 이와는 생물학적 의미가 비교도 안 되는, 소위 왼손잡이 DNA라고 부르는 ‘Z-DNA’ 구조 규명이 대표 업적으로 언급됐으며 함께 실린 인물 사진도 Z-DNA 모형을 앞에 둔 모습이었다. 반면 학술지 ‘생화학과학의 경향’에는 좀 더 긴 부고가 실렸다. 여기서는 리치의 ‘위대한 발견’ 9건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범유전체 지도 초안 완성동아사이언스 l2023.05.13
- “한 사람은 한 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초안에는 염색체 94개에 들어 있는 DNA 염기서열 정보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NHGRI는 2024년까지 유전체 분석 대상으로 더욱 다양한 인종과 민족으로 확대해 분석 인원을 350명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인간 범유전체에 염색체 700개의 ... ...
- [표지로 읽는 과학] 240여종 포유류 유전체로 본 진화의 비밀동아사이언스 l2023.04.30
- 발토의 가죽에 남겨진 DNA를 추출해 이 개가 어떤 신체적 특성을 가졌는지 확인했다. DNA의 염기서열을 40번 이상 반복 해독해 부족한 정보를 채워나갔다. 분석 결과 발토는 썰매견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시베리안 허스키나 알래스칸 맬러뮤트보다 근육 성장이 우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서히 풀려가는 DNA 접힘의 비밀동아사이언스 l2023.04.29
- 표시된 것이 코헤신이다. 연구팀은 “상호작용을 시각화한 결과, CTCF가 코헤신에 의한 DNA 접힘을 차단했다”며 “차단 뿐 아니라 접히는 방향까지 바꾸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TCF와 코헤신 결합으로 생긴 장력에 의해 제어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피터스 연구원은 ... ...
- [오늘과학] 고대 바이러스가 남긴 DNA 흔적, 암 치료 새 단서동아사이언스 l2023.04.17
-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에서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DNA를 기반으로 암세포에 대한 항체를 증가시키는 암 백신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 ...
- [논문감시] 데이터 오류 논문 2편, 철회에 1년 걸린 사연동아사이언스 l2023.04.12
- 논문 2건이 올 1월 철회됐다. 두 연구 모두 ‘플라시미드’ 관련 연구다. 작은 원형의 DNA 조각인 플라시미드는 염색체와는 별개로 존재하며 자율적으로 증식하는 유전자를 뜻한다. 두 연구 모두 플라시미드 유전체 분석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술지 측은 “1차 서열 데이터를 재검토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프리카 스와힐리 문화 형성의 비밀동아사이언스 l2023.04.01
- 년경부터 아프리카인과 아시아인이 섞이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아시아계 DNA의 80~90%는 페르시아 남성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레이치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스와힐리에 대한 역사를 담은 가장 오래된 기록인 ‘킬와 연대기’에 명시된 이야기와 ...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동아사이언스 l2023.03.18
- 비친 듯 대칭 모양을 하고 있어 서로 겹쳐질 수 없는 분자구조를 말한다. 자연계에서는 DNA나 단백질 아미노산, 단당류 등 생체분자들 대부분이 카이랄성을 띠고 있다. 최근에는 금속 등 무기물 재료에서도 인위적으로 카이랄성을 띠게 해 새로운 특성을 만드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또 카이랄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2023.02.28
-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가장 중요한 원리는 플라즈미드 DNA를 서로 주고받는 것이다. 이는 세균 입장에서 보면 진화과정에서 가지게 된 세균의 생존원리이기도 하다. 세균을 포함한 미생물은 인류가 함께 살아가야 할 동반자라는 사실을 깨닫고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