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인
스페셜
"
철학자
"(으)로 총 7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대한 글도 꽤 흥미롭다. 미국 뉴욕대의 심리학자 안드레이 심피언과 프린스턴대의
철학자
사라-제인 레슬리는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천재는 소수 남성의 특성이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고 주장한다. 결국 많은 재능있는 여성들이 천재들의 학문이라고 여기는 분야에 뛰어들려는 용기를 잃게 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대소사에 일희일비하며 살아가는 필자는 이런 스케일 큰 과학뉴스를 접할 때마다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묘비에 새겨져 있다는 ‘실천이성비판’의 한 구절이 떠오르곤 한다. “그에 대해서 자주 그리고 계속해서 숙고하면 할수록, 점점 더 새롭고 점점 더 큰 경탄과 외경으로 마음을 채우는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한글로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책은 없었다. 그런데 지난해 이 무렵 김진성이라는
철학자
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소론집’을 번역해 내놓았다. 역자 소개를 보니 ‘자연학’을 옮기고 있다고 한다. 지난 여름 한 책을 읽다보니 여러 곳에서 ‘자연학’을 인용했다. ‘혹시 번역서가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학문이 아닌데 문과, 이과, 세부전공으로 일단 구분하는 것처럼 말이다. 일본을 대표하는
철학자
가라타니 고진도 말했지만, 녹색평론의 발행인 김종철 선생은 문학 바깥에 문학이 있다고 했다. 이미 수십 년 된 이야기이다. 불멸성을 획득한 문학 고전들은 그 당시의 문학 바깥에서 빚어진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타인에 대해 배려할 줄도 아는 존재라는 말이다. 흥미롭게도 드 발 교수는 책에서 중국의
철학자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 일화를 인용하고 있다. 이 말에 공감은 하면서도 오늘날 과학이 인간의 폭력성의 기원은 설명할 수 있을지언정 이를 줄일 해결책은 2300년 전 살았던 맹자의 수준을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전국시대 송나라의
철학자
장주(장자)가 썼다는 ‘장자’는 정말 특이한 책이다. 필자는 뭔가 일이 잘 안 풀리거나 머리가 탁할 때 ‘장자’를 읽곤 한다. 세상을 보는 눈이 필자의 상식적인 관점과 꽤 다르기 때문에 ‘그게 그렇게 중요한 일은 아닌 것 같은데...’라는 위안을 받기 때문이다. 예를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수학을 공부한 브로노우스키는 얼마 안 가 영문학으로 전과했고 르네상스 후기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9년 25세에 과학자 니콜라스 자딘과 결혼해 자녀 둘을 뒀지만 1979년 이혼했다. 하지만 그 뒤로도 자딘이라는 전 남편의 성을 계속 썼다. 탁월한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네덜란드 과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빛은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프랑스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의 편을 들었다. 이후 한참동안 논쟁이 계속되었지만 19세기 초 프레넬이 수학 방정식에 기반한 계산법을 창안함으로써 빛의 파동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게 되었다. 셋째로 올해는 천재 ... ...
파이(π)와 함께 춤을...
2015.11.23
암호해독가로 활약하면서 왕당파 잔당들의 서신을 해독하기도 했다. 훗날 독일의
철학자
이자 수학자인 코트프리트 라이프니츠가 하노버공국에 와서 암호학을 강의해달라고 했지만 거절했다고 한다. 1649년부터 옥스퍼드대에서 기하학 교수로 봉직하면서 월리스는 수학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어원(atomoi, 자를 수 없는)의 관점에서 완결지은 사람이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철학자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가 제안한 원자는 19세기 영국의 화학자 존 돌턴에 의해 과학이 됐지만, 1897년 영국의 물리학자 J. J. 톰슨이 전자를 발견하면서 잘못된 명명으로 드러났다. 1911년 뉴질랜드 태생의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