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철학자"(으)로 총 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2022.03.10
- 늦추라는 말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나이브한 윤리적 명령일 뿐이다. 비엔나 학단의 철학자 오토 노이라트의 말처럼, 우리 모두는 바다를 항해하는 배 위에서 배를 수리하는 운명을 가진 사람들일 뿐이다. 배를 멈추면 배는 침몰한다. 과학도 마찬가지다. 배를 멈추지 않고 최선을 다해 수리하는 ... ...
- [랩큐멘터리] 실험실에 전용통신사 세워 가상세계를 구축하다동아사이언스 l2022.01.26
- 단절된 하나의 작은 통신사로 만든 셈이다. 이러한 실험은 연구실의 모토로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명언을 차용한 ‘실험없는 이론은 공허하고 이론없는 실험은 맹목이다’와 닿아 있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 실험을 제안하고 이론을 만들면 시제품 단계까지 탄생시킨다. ... ...
- '인간은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는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2021.10.04
- 감지한 피부가 뇌에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상상한 그림이다. 노벨위원회 제공 17세기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피부 다른 부분과 뇌를 연결하는 실을 상상했을 정도다. 이는 과학자들의 발견을 통해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특수감각 뉴런의 존재로 확인됐다. 조지프 얼랭어와 허버트 개서는 고통이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영웅 없는 혁명' mRNA 백신의 길고 지루한 역사2021.09.23
-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한 폴 크리그와 더글라스 멜튼. 네이처 제공 미국의 과학사학자이자 철학자 토마스 쿤은 과학혁명의 특징으로 ‘단절’을 강조했다. 기존의 패러다임으로 설명되지 않는 현상이 누적되면, 과학자사회는 과거와 단절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개종하듯 옮겨간다는 것이다. 이를 ... ...
- [프리미엄 리포트]윤리에 눈뜬 AI, 망각에 손 내밀다과학동아 l2021.09.11
- 과학자들은 기억과 망각의 뇌과학적 기전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고(1파트 참조), 철학자들은 인간에게 망각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했다. 최근에는 인간을 닮은 인공체, AI가 탄생하며 망각의 개념 또한 확장되고 있다. 파괴적 망각 │ 인공지능도 기억 잃는다 AI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망각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2021.06.03
- 당대에 유행하던 과학을 실제로 수행했던 과학자이기도 했다. 과학자의 시작은 자연철학자였으며 그들은 아주 당연하게 지식인으로 취급되었던 것이다. 18세기 뉴턴과 로크의 사상을 프랑스에 수입했던 볼테르와 당시의 프랑스 계몽사상가들이야말로 자연과학의 방법론과 세계관을 통해 사회적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을 위한 과학, SOS2021.05.06
- 것이다. 1990년대 소칼의 ‘지적 사기’ 스캔들로 야기된 ‘과학전쟁’에서 과학자, 과학철학자들은 스트롱프로그램 등의 사회구성주의를 주장하는 과학사회학자들과 전면전을 벌였는데, 그 갈등은 20년이 훨씬 지난 지금도 전혀 봉합되지 않았다. 당시 한국에서도 서구사회의 과학전쟁을 수입한 ... ...
- [인간 행동의 진화] 미의 기준은 각자 다르지만 동시에 같다2021.05.02
- ” 그리스의 철학자 테오프라스토스의 말이다. 인간의 여러 유형에 대한 통찰을 제시한 철학자다. 그런데 아름다움에 대해서는 영 평가가 박하다. 사실 아름다움만큼이나 사람들의 의견이 일치하면서, 동시에 충돌하는 가치도 드물다. 꽃밭에서 연신 탄성을 지르는 군중을 보노라면, 어떤 대상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스타 과학자의 장례식과 과학의 진보2021.04.08
- 과학자들에게 존경받지 못하는가》를 참고할 것. https://revoltscience.wordpress.com/2012/07/15/왜-철학자는-과학자들에게-존경받지-못하는가/ -(*) 부분의 원문은 이렇다. ”A new scientific truth does not triumph by convincing its opponents and making them see the light, but rather because its opponents eventually die, and a new generation grows up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자화상2021.03.25
- 자연과학에도 적용되는지에 대한 결론은 아직 없다. 1990년대 과학 사회학자들과 과학철학자, 과학자 일군은 과학 역시 개인의 주관에 따른 상대주의적 지식인가라는 명제를 두고 치열하게 ‘과학전쟁’을 벌였지만, 아무런 결론도 얻지 못했다. 자연과학의 내용적 측면, 즉 과학적 이론이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