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스페셜
"
천문학자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틀라스 혜성, 5천년 전 태양 방문한 혜성서 쪼개진 일부
연합뉴스
l
2021.08.20
일부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메릴랜드대학교 행성
천문학자
예콴지(葉泉志) 박사는 장주기 혜성인 아틀라스가 5천 년 전 태양에 3천700만㎞ 이내로 들어선 이름 모를 모(母) 혜성에서 쪼개져 나온 것이라는 가설을 '천문학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에 발표했다. ... ...
극대기 이틀 넘겨 시간당 200개 넘게 쏟아진 페르세우스 유성우…
천문학자
들 "이례적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유성우의 극대기를 12일 밤과 13일 새벽 사이로 예상했다. 그러나 14일 밤과 15일 새벽 사이
천문학자
들의 관측에 따르면 유성우가 가장 정점일 때 한 시간에 볼 수 있는 유성의 수를 나타내는 정점 시율(ZHR)이 200 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 3개 이상의 별똥별이 생겨났다는 의미다. 이는 ... ...
과학자 UFO 찾아 나선다…미 하버드대 교수 ‘갈릴레오 프로젝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데다가 혜성처럼 가스 방출을 하지도 않고, 소행성처럼 포물선 궤도로 비행하지도 않아
천문학자
들의 의구심을 자아냈다. 일각에서는 오무아무아가 외계 고등생명체가 태양계를 탐사하기 위해 보낸 인공물, 즉 UFO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듬해 로엡 교수는 오무아무아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 ...
"첫 우주 교통사고가 연구의 꿈 되살렸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최은정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연구실장이 6일 대전 유성구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 지구를 덮은 우주 쓰레기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모니터에 보이는 점이 지구를 뒤덮은 우주물체로 초록색이 모두 우주 쓰레기다. 대전=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2009년 2월 10일 미국의 ... ...
달과 비슷한 크기에 태양 질량 1.35배 '극단적' 백색왜성 확인
연합뉴스
l
2021.07.01
초신성 폭발 거치지 않는 중성자별 형성 경로일수도 [Giuseppe Paris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주를 채우고 있는 별(항성)은 대부분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재만 남은 백색왜성이 된다. 약 97%가 이런 '좀비' 별이 되는데, 가장 작으면서 가장 무거운 백색왜성의 '극단'을 보여주는 별이 새로 발견돼 학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이 무너졌다
2021.06.24
대한 기여(for his services to Theoretical Physics)”로 얼버무려져 있다. 1919년 영국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일식 순간 주변에서 촬영할 수 있던 별들의 위치를 평소와 비교해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한 시공간 휘어짐과 빛의 진행방향 변경 현상을 확인했다. 하이파대 제공 태양이 별빛을 아주 조금, 보름달 ... ...
겨울철 밝은 별 베텔게우스가 한때 빛 잃은 이유, 먼지구름 때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겨울철 밤하늘에 뜨는 별인 베텔게우스는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급격히 빛을 잃는 현상을 보였다. 유럽남방천문대 제공 겨울철 밤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인 ‘베텔게우스’가 2019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급격히 빛을 잃었다가 4월 언제 그랬냐는 듯 예전 밝기를 회복했다. 태양보다 수백 ... ...
'로스트인 스페이스' 호주가 반세기만에 다시 우주개발에 눈 뜬 이유를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9일 열린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한국형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사업 추진계획이 수립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의 경쟁력 있는 우주 산업체를 호주에 소개하고 호주의 기관과 산업체에서 추진하는 우주분야에 참여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우주산업 기술교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
2021.06.11
일식을 탐사하기 위해 찾은 곳은 서아프리카 연안의 프린시페 섬이었다. 1919년 영국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이 촬영한 태양 개기일식 사진이다. 에딩턴은 일식 순간 주변에서 촬영할 수 있던 별들의 위치를 평소와 비교해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한 시공간 휘어짐과 빛의 진행방향 변경 현상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검증
2021.05.27
역학의 예측과 어긋남을 발견했다. 수성의 근일점 이동과 사실상 같은 상황이다. 이때
천문학자
들(부봐르, 애덤스, 르베리에 등)은 뉴턴 역학을 폐기하지 않고 천왕성 바깥에 새로운 행성을 도입함으로써 천왕성의 궤도 문제를 해결했다. 해왕성은 거의 계산된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뉴턴 역학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