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형
부문
타입
양식
형식
품종
장르
스페셜
"
종류
"(으)로 총 1,05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재래품종 자원을 모았다. 릭 교수는 기존 작물 토마토가 취약한 병원체에 내성이 있는
종류
를 찾아 교배해 잡종을 얻었고 이를 다듬어 새 품종을 개발했다. 오늘날 유통되는 토마토 품종 대부분은 게놈에 야생종에서 유래한 병원체 저항유전자를 포함한 영역을 지니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 ...
[오늘과학] "사회적 지위 높을수록 고립에 더 취약"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등 사회적 불안정성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회적 지위가 높더라도 다른
종류
의 스트레스에 반응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계급은 동물들이 만성적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독특한 신경생물학적 '지문'을 제공한다"며 "연구 결과는 사회적 ... ...
[박정연의 닥터스] 생체신호 데이터로 수술만큼 중요한 '환자안전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취득한 정보통계학 학사 학위와 관련 앞서 연구나 병원업무로 다양한
종류
의 의료 데이터를 다룰 기회들이 있었다. 의료데이터는 구조도 복잡하고 반복측정이나 결측치 처리 등 일반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까다로운 특징들이 있다. 매번 분석을 외부의 전문가에 맡기거나 알음알음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소재 '맥신'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다양한 전이금속과 13족 또는 14족 원소, 탄소 또는 질소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수백가지
종류
의 서로 다른 맥신을 합성할 수 있어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맥신은 맥스(MAX)라고 불리는 결정성 물질로부터 만들어진다. 층상 구조의 맥스 결정은 세라믹 물질이지만 연성이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지워지지 않는 이유가 이러한 뇌-신체 상호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인지 아니면 모든
종류
의 기억들에게도 이러한 유사하면서도 서로 다른 방식의 뇌-신체 상호작용이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전혀 없다. 하지만 이처럼 학습과 기억의 새로운 면모들을 계속 파헤쳐 나가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연구자가 밝힌 진화생물학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3.19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도롱뇽의 한
종류
인 ‘알파인 뉴트’가 땅을 짚으며 걸어가는 모습을 17일 표지로 실었다. 땅에 닿아 있는 배 부분의 색이 주황색이고 그 반대 위쪽의 색은 어두운 색인 것을 볼 수 있다. 많은 양서류들이 몸에 이런 색을 갖고 있다. 배 쪽은 눈에 잘 띄는 뚜렷한 색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확인조차 불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세균은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그러나 그
종류
가 워낙 많다 보니 사람에게 큰 피해를 입히는 세균도 있다. 역사적으로 14세기와 19세기에 대유행을 하면서 인류를 공포에 몰아넣은 페스트와 콜레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그 외에도 결핵,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episode)’ 등인데 위와 장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억 관련 정보들은 특정
종류
의 음식을 섭취할 때 관련된 주변 정보들일 것이라 생각된다. 예를 들어 나를 만족시키는 음식을 먹게 된다면 그 음식을 먹던 장소와 시간, 분위기, 사람 등이 장-내측 중격-해마 연결망을 통해 쉽게 기억될 수 있으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위해 DNA 구조 변화가 필요할 때 이 효소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능과
종류
가 다양함이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강산이 두 번 바뀌도록 이를 DNA ligase 대신에 DNA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떠올린 학자는 없었다. 다시 생각해 보자. ‘서로 다른 두 가지 DNA를 이어붙여야 DNA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만성통증 극복 운동은 '자주, 꾸준히'
2023.02.11
높은 강도로 운동을 하는 것은 장애 정도를 줄이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지만, 다양한
종류
의 활동을 “자주”, “꾸준히” 하는 것은 왠만한 진통제만큼이나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가장 안 좋은 것은 계속해서 앉아있거나 누워있기만 하는 것이다. 물론 나 역시 자주 그러고 있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