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좁지만 넓은 시냅스틈의 비밀, 신경전달물질
IBS
l
2014.09.03
뜻이기도 하다. 국제적으로
뇌
연구가 강한 추진력을 얻은 만큼, 언젠가는 인위적으로
뇌
를 모사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를 수도 있을 것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 9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뇌
의 두 가지 지도, 정원과 도시
IBS
l
2014.08.05
뇌
지도도 마찬가지다. 물론 그 전에 두 지도를 각각 완성하는 게 먼저다. 그것만으로도
뇌
는 무한한 공간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 8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MATH] 반(半) - 자장면과 종이접기
KISTI
l
2014.07.21
즐거운 경험이 될 것이다. 종이접기는 집중력과 섬세한 손놀림이 필요하기 때문에 두
뇌
활동을 자극하는 아주 좋은 놀이일 뿐만 아니라, 접는 방법을 계속 연구해 여러 가지 새로운 모양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창의력 향상에 큰 도움을 준다. 이런 종이접기의 특성은 수학이라는 학문의 특성과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
KISTI
l
2014.05.26
014년 5월 초 미국정신과협회(APA)의 연례 대회에서는 인터넷 중독 장애를 보이는 청소년은
뇌
에 비정상적인 특징이 나타났다는 발표가 있었다. 한두 건의 실험이 아닌 최근의 연구 13건을 종합한 결과다. 인터넷 중독 장애는 부정적인 정신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 연구가 지적하는 ... ...
[생활속의 기술]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KOITA
l
2014.05.16
1950년 미국 하버드대 조지 밀러 교수는 ‘마법수 7±2’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인간
뇌
는 5개에서 9개 사이의 정보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그래서 핸드폰 번호도 010을 제외하면 7~8자리다. 자동차는 안전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보다 적은 5개로 맞춘다.소리도 자동차를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편도체가 과도하게 활성화 돼 있다. 공포에 질려 감정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된 것이다. 대
뇌
신피질의 활동도 억제되면서 인지 능력이 떨어져 침착하게 해결책을 찾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재난 상황에서 눈앞에 창문 유리를 깨는 비상 탈출 망치가 있어도 보지 못한다. 비상구를 앞에 ... ...
[만화] 야구의 꽃, 홈런이 탄생하기까지
KISTI
l
2014.04.17
만들어내지.” “거 봐요. 연습해도 안 된다니깐.” “하지만 근육을 자주 쓰면 발달하듯
뇌
도 많이 사용할수록 기능이 향상되거든. 빨리 움직이는 물체를 반복적으로 보는 연습을 치열하게 하면서 중측두피질의 능력을 높이면 타고나는 선수들을 어느 정도는 따라잡을 수 있다는 게 의학 ... ...
집중초음파로
뇌
자극해 촉각을 느낀다
2014.04.09
퇴행성
뇌
질환 등의 병인이 영상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연결되는지를 파악하려고 기능적
뇌
영상 연구를 해왔다. 그러다가 5년 전부터 유승식 하버드의대 영상의학과 교수와 협업하고 있다. 정 교수는 "저강도 집중초음파 자극기에 대한 선도적 기술을 갖고 있는 유 교수 덕분에 이 분야의 연구에 ... ...
변비, 제대로 알고 극복하자!
KISTI
l
2014.03.31
항문의 운동 능력에 이상이 있거나 다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먹는 약, 당뇨병이나
뇌
혈관 질환 등의 증상 중 하나로 생기기도 한다. 변비는 원인이 다양한 탓에 과거부터 오해도 많았다. 1920년대 서양에서는 사람이 서서 다니기 때문에 중력으로 장이 꼬여 변비가 생긴다고 여겨 장을 전부 ... ...
[keyword로 읽는 과학] 소시오패스, 누구냐 넌?
KISTI
l
2014.02.14
듯한 이야기를 천연덕스럽게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은 기존 정보를 잘 연상할 수 있는 두
뇌
구조 덕분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소시오패스는 왜 생기는 것일까? 일부 사람들은 소시오패스가 선천적인 사이코패스와 달리 후천적으로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에 따르면 소시오패스의 원인은 어릴 적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