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산암
이토
페이드아우트
화산암층
뉴스
"
용암
"(으)로 총 11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화산폭발 원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프린스턴대 연구팀의 논문과 소행성이 충돌하고 5만 년 내로 화산 폭발이 이뤄지며 전체
용암
4분의 3이 이때 나왔다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의 논문을 같은 날 발표했다. 시기는 엇갈렸으나 화산 폭발이 대멸종에 영향을 줬다는 결론은 일치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화산 폭발 ... ...
화성의 물, 계절이 바뀔수록 예상보다 빠르게 말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0
연구팀은 화성에서 가장 거대한 타르시스 화산이 35억 년 전 폭발하면서 엄청난
용암
을 방출했고 지각과 맨틀이 이동하며 자전축이 기울어졌다는 연구결과를 201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화성은 사계절에 따른 뚜렷한 대기 지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무서운 건
용암
이 아니라 화산재 실제 화산이 폭발하면 진짜 무서운 피해는 분출하는
용암
이 아니라 화산재다. 분출한 화산재가 중간에 산기슭을 타고 빠르게 쏟아져 내리는 것을 화쇄류라고 하는데, 수백 도에 이르는 화산재가 빠를 땐 시속 100km가 넘는 속도로 쏟아져 내려와 지상을 폐허로 ... ...
달에 '거미'를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18일 한국을 찾은 파블로 타나샥 스페이스빗 대표는 "달탐사는 사업적 가능성이 충분한 분야"라며 "한국 스타트업과 특히 배후기술을 지닌 기업과의 협업을 기 ... 스페이스빗이 개발한 1.3kg 무게의 소형 거미형 탐사로봇. 달 표면의 음영 지역 중
용암
굴을 탐사할 계획이다. 스페이스빗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폭발, 사건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유입되며 시작했다. 압력을 받은 마그마는 열곡대라는 지형으로 흘러간다. 열곡대는
용암
분출이 산의 정상이 아닌 능선에서도 일어날 수 있게 하는 틈새로 정상에서부터 능선을 따라 이어진다. 화산에 따라 다양한 원인으로 만들어지는데 하와이에서는 산이 바다 방향으로 중력을 따라 계속해 ... ...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12.06
그 결과 나일강 북아프리카 지각 아래를 흐르는 맨틀이 열기둥(플룸)을 형성해
용암
이 분출되면서 나일강 상류의 에티오피아 고지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기둥에 의해 나일강 유역의 맨틀이 3000만 년간 계속해서 에티오피아 고지대로 흘러 들어가는 흐름을 보인다는 사실도 ... ...
남태평양 한가운데 별안간 '여의도 18배' 섬 떠다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떠다니는 이유는 스폰지처럼 구멍이 숭숭 뚫려 있기 때문이다. 땅속에서 분출된 마그마(
용암
)가 매우 빠르게 냉각되면 가스가 모두 빠져나가면서 이런 형태로 굳는다. 해저화산이 생성된 수심이 그다지 깊지 않을 때 부석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 해저화산이 폭발한 위치는 남태평양 통가 ... ...
호기심의 눈으로 지켜본 화산섬 제주…28~30일 '탐험대학 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01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화산지형이지요. 주상절리는 땅위로 흘러나온
용암
이 빠르게 식으며 굳다가, 균열이 생기며 여러 개의 돌기둥으로 쪼개져 생긴 지형이에요.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생긴 돌기둥들이 해안가에 모여 장관을 이룹니다.” 10분을 더 항해하자 3개의 ... ...
美 달 탐사도 '아웃소싱'…민간기업 만든 착륙선 2020년 달에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실어 발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NASA의 과학 화물 4개를 착륙선에 실어 달 북동부의 어두운
용암
평원인 ‘비의 바다’에 보내겠다는 계획이다. 오빗 비욘드가 계획대로 착륙에 성공하게 되면 민간으로써는 최초로 달에 부드럽게 내려앉는 ‘소프트 랜딩’ 방식으로 착륙한 기업이 된다. 지금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속도로 인근 해안과 마을 덮쳐 총 35.5 ㎢(평방킬로미터) 지역을 삼켜버렸다. 연구팀은
용암
이 흘러내린 양과 칼데라의 지반 침하 정도가 0.8 k㎥로 서로 유사했다는 관측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중앙의 화구가 아닌 기다란 열극을 통해 화산이 분출되는 것을 뜻하는 ‘열극 분출’과 산 정상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