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산암
이토
페이드아우트
화산암층
뉴스
"
용암
"(으)로 총 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도양서 ‘열수분출공’ 2곳 연달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열수공)’을 잇따라 발견했다. 열수분출공은 지구의 깊은 내부에서
용암
이 분출되는 장소로 화산과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주변에 풍부한 생물자원이 살고 있는 해양 생명체의 보고로 불린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해양탐사선 이사부호를 타고 인도양 탐사에 나선 김동성 ... ...
화성 지질학자 인사이트 '사투' 놓칠 뻔한 최대 '화진' 잡아내
연합뉴스
l
2021.09.24
천600㎞ 떨어진 '케르베루스 포사이'(Cerberus Fossae) 지역에서 포착됐는데, 수백만 년 이내에
용암
이 흘렀던 지역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함께 규모 4.2 화진은 느리고, 저주파 진동을 동반한 것에 비해 인사이트호에서 약 925㎞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규모 4.1 화진은 빠른 고주파 진동을 가져 차이를 ... ...
[지구는 살아있다]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
2021.08.28
충청북도 단양의 고수동굴이 그 중 유명합니다. 화산활동이 활발했던 제주도에는
용암
동굴이 많습니다. 만장굴과 협재-쌍룡굴 등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남한에는 모두 몇 개의 동굴이 있을까요? 지금까지 발견된 동굴만 전국에 무려 1500개에 이릅니다. 필자는 그중 절반 정도인 700여 개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화성에 설치한 지진계, 화성을 해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5
것이다. 케르베루스 지역에 위치한 두 개의 협곡을 뜻하는 이곳은 수백만 년 내로
용암
이 흐른 것으로 보이는 화산활동 지역으로 추정된다. 화성 궤도 탐사선에선 지진으로 바위가 굴러떨어진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포착되기도 했다. 반면 화성에서 가장 큰 화산 3개가 있는 타르시스 ... ...
고대 지구에 1천500만년에 한 번꼴로 공룡대멸종급 소행성 충돌
연합뉴스
l
2021.07.09
충돌로 인한
용암
호수가 물과 함께 공존하고, 대기에는
용암
에서 내뿜은 온실가스로 가득한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SwRI/Simone Marchi, Dan Durd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구는 행성 형성 초기에 많은 소행성과 충돌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십억년이 흐르면서 지각 운동과 풍화 작용으로 직접적인 ... ...
화성 5만 년 전에도 화산 폭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여
과학동아
l
2021.06.01
모습. 위키피디아 제공 화성을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 5만 년 전 분출된
용암
의 흔적을 찾아냈다. 지질학적으로 5만 년 전은 ‘최근’의 일이다. 미국 애리조나대 달 및 행성연구소와 스미스소니언 국립항공우주박물관 공동연구팀은 위성 데이터를 통해 화성 적도 부근의 지역인 엘리시움 평원에서 ... ...
목성 위성 '유로파' 해저화산 활동 있을만큼 내부 뜨겁다
연합뉴스
l
2021.05.28
공급하는 열수구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구에서는 바닷물이 뜨거운
용암
과 만나면서 화학에너지를 제공하는데 햇빛이 들지 않는 심해에서는 이 화학에너지가 빛 대신 생명체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베호운코바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유로파의 얼음 밑 바다가 생명체 ... ...
[지구는 살아있다] 운봉산 돌무더기는 '빙하기의 증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22
올라온 마그마가 만든 화산입니다. 그런데 주변에
용암
이 흐른 흔적은 없어요. 화산에서
용암
이 분출되지 않고 얕은 땅속에서 그대로 식은겁니다. 이렇게 굳은 마그마가 ‘주상절리’가 되었습니다. 주상절리는 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만들어지는 수직 기둥 모양의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폭발하면서 날아간 ‘화산탄’도 흔히 볼 수 있다. 만장굴 바닥의 새끼줄
용암
. 흐르던
용암
이 밀려서 굳은 흔적이다. 우경식 제공 ※필자소개. 우경식. 강원대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 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 ...
제주 산방산 주변 천연기념물 조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발굴·확보, 정보 연계를 위한 협력을 진행한다.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제주도는
용암
동굴, 오름 등 독특한 화산지형을 보유하고 있다. 한라산과 곶자왈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생물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생태계의 보고다. 이런 가치를 인정받아 제주도는 2002년 생물권보전지역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