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뉴스
"
서열
"(으)로 총 1,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잎꾼개미, 수천만 년 전부터 균류 농장 운영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28
변화하고 때로는 새로운 종이 탄생합니다. 생명체의 유전 정보가 담긴 DNA 염기
서열
중 진화 과정 내내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부분과 변화한 부분을 비교하면 언제부터 새로운 종으로 갈라져 나왔는지를 알 수 있어요. 연구팀은 개미와 균류의 DNA를 비교해 각각의 진화 가계도를 만들고 균류를 ... ...
골칫거리 AI 환각, 과학 연구에서는 혁신적 아이디어 제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수천 개의 가상 단백질이 생성됐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기본 재료 물질로 아미노산
서열
에 따라 다양한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AI 환각으로 설계된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합성해 미생물에 삽입하자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129종의 새로운 단백질이 만들어졌다. 베이커 교수는 "AI로 창의적 ... ...
알츠하이머 원인 단백질 줄이는 유전자 교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단백질만이 생성되도록 만든다.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 CAS-9)가 DNA 염기
서열
을 직접 교정한다면 스플라이서는 RNA 수준에서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생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스플라이서를 사용해 유전자를 교정한 생쥐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형성하는 ... ...
태아 뇌 속 '만능세포' 분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정도에 변화가 생겼다. 연구팀은 노태영 이화여대 교수 연구팀과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 기술을 이용해 전환되는 정도가 바뀐다는 점을 확인했다. 쥐 모델의 신경줄기세포에서 p18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활성화했을 때 교세포가 더 많이 생성됐고 뇌 발달에 중요한 델타-노치(Delta-Notch) 신호경로가 ... ...
[의학바이오게시판] 엔젠바이오 제품, 인도 병원 4곳서 성능 검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헬스케어와 사업 협력을 체결했다. 인도 내 4개 대형병원이 엔젠바이오 주요 차세대염기
서열
분석(NGS) 정밀진단 제품에 대한 현장 검증을 진행 중이다. 제품 검증이 마무리되면 본격적 판매를 시행할 예정으로 엔젠바이오는 내년 상반기 규모 있는 성과 창출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산전에 발견된 태아 염색체 이상, 산모의 암 암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5
채취한 혈액에서 세포에 포함되지 않은 채 혈액을 떠다니는 DNA 샘플을 분리해 염기
서열
을 분석한다. 분리된 DNA 중 일부는 태아의 정보를 반영한다. 간편하게 태아의 다운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장애 보유 여부를 알 수 있다. 연구팀은 NIPT에서 '해독할 수 없는 검사 결과'에 주목했다. 2013년 미국 ... ...
모든 영유아 대상 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 국내 첫 시판
동아사이언스
l
2024.12.03
된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베이포투스는 단백질 기본 요소로 구성되는 아미노산의
서열
에서 요소 'M'을 'Y'로, 'S'를 'T'로, 'T를 Y'로 치환해 RSV 항체 생존에 최적화된 화학 구조를 구현했다. 윤 교수는 "이전 항체주사가 한 달에 한번씩 투여해야 했던 것에 비해서 니르세비맙(베이포투스)는 한 번 ... ...
80만 년 전부터 이어진 인류의 탄수화물 사랑
과학동아
l
2024.11.30
한번에 긴 길이의 유전자 가닥의
서열
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AMY1 근처 부위의 유전자
서열
은 거의 동일해 기존의 숏리드 시퀀싱 기술으로는 유전자를 정확하게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롱리드 시퀀싱으로 더 복잡한 유전자를 분석해낼 수 있었다. 한편 페이자 일마즈 잭슨연구소 연구원은 ... ...
실명 유발'황반병성', 주사 대신 점안 치료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연구팀은 톨유사수용체와 구조가 유사한 수만 개의 단백질로부터 펩타이드
서열
을 추출해 19만 개 이상의 방대한 펩타이드 약물 라이브러리를 구축했다. 이후 신호전달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해 톨유사수용체의 신호전달 단백질 ... ...
[표지로 읽는 과학] 쥐의 뇌에선 무슨 일이…고해상도 3차원 이미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1.24
RNA를 분석해 단일 세포 수준에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전통적인 RNA 염기
서열
분석 기술은 유전자 발현이 일어난 공간 정보가 보존되지 않는다. 공간 전사체 기술은 공간적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조직과 연관된 유전자 발현을 탐구할 수 있다. 위치 정보와 유전자 발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