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미
종단
맨 끝
종료점
끝
말기
종점
뉴스
"
말단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마침내 정복? 뇌의 독성 단백질 제거 '신호 경로' 발견
연합뉴스
l
2022.08.26
4 단백질을 발견한 것이다. '종말 단추'는 단추처럼 보이는 '무수(無髓)신경섬유'의
말단
으로 다른 신경섬유의 수상돌기와 접합한다. 성상교세포의 주 임무는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혈뇌장벽'을 정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성상교세포의 '종말 단추'는 뇌의 미세한 혈관을 ... ...
[인터뷰] 양향자 의원 “반도체 설계인력, 대만 25만명인데 한국은 1만명 수준”
과학동아
l
2022.08.06
동아일보DB 양향자 의원은 반도체 엔지니어로서 국회 유일 반도체 전문가다. 삼성전자
말단
연구원 보조로 시작해 최초로 고졸 출신 여성임원이 됐다. 그동안 40여 건의 특허도 출원했다. 이런 이력 덕분인지 더불어민주당 출신의 무소속 의원인데도 국민의힘 반도체산업 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 ...
청소년기 성장 조절 '인슐린유사성장인자'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3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반대로 인슐린유사성장인자가 과다 분비되면 거인증이나
말단
비대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인슐린'이라는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 인슐린과 협력해 혈당 조절에도 관여한다. 연구팀은 초저온투과전자현미경(cryo-EM)으로 IGF 삼중복합체의 3차원 분자구조를 확인하고, 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분 좋은 터치의 비밀
2022.05.03
인식하는 수용체(R)다. 실제 이 뉴런에 연결된 C섬유가 자극을 받으면 시냅스
말단
에서 프로키네티신2를 내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정작 프로키네티신2의 기능도 모르는 상태였다. 연구자들은 정서 촉각을 전달하는데 프로키네티신2와 그 수용체가 관여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척수에서 ... ...
빨리 걸으면 노화 느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 20일자에 발표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말단
에 있는 DNA 염기서열을 일컫는다. 염색체가 복제될 때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중간 부분 대신 끝부분의 텔로미어가 손상되며 DNA를 보호한다. 이 때문에 텔로미어가 길면 세포 손상이 덜하고, 이에 따라 수명도 ... ...
인간 유전체 풀리지 않던 '8% 빈칸' 모두 채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30억쌍을 완벽히 해독한 인간 유전체 정보를 공개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양 끝에 있는
말단
염기서열로 T2T는 유전체 전체를 뜻한다. ○유전체 읽는 새 안경 쓴 것과 같은 성과 연구팀은 새롭게 등장한 유전자 해독 방식으로 한 번에 수만 개 이상 염기쌍 서열을 읽어내는 ‘롱 리드’를 적용해 ... ...
자석의 힘으로 기관지 끝까지 이동하는 지렁이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붙여 가늘고 긴 로봇 형태를 구현했다. 각 단락이 독립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가는 기관지
말단
에서도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다. 로봇의 움직임을 더 수월하게 하기 위해 로봇 삽입 전 환자의 폐를 스캔하고 움직일 경로를 로봇 시스템에 프로그래밍 했다. 이에 따라 기관지 끝 목표지점까지 도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약물(주황색)이 후시냅스
말단
표면의 오렉신 수용체에 먼저 결합해 Hcrt뉴런의 전시냅스
말단
에서 방출되는 오렉신이 붙을 자리가 없다. 에자이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과학계 다보스포럼 '고든리서치컨퍼런스'서 신경발달 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교수 등이 발표에 나선다. 세미나 참석 신청은 10일까지다. 그 외에 알코올로 인한
말단
장기 질환을 주제로 한 세미나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벤츄라에서 4월 24일부터 29일까지, 겨울 기후 변화에 대한 생물학적 반응을 논의하는 ‘겨울의 생물학’ 세미나는 미국 뉴햄프셔주 앤도버에서 6월 5일부터 ... ...
남성 탈모치료 효과 1등은 두타스테리드 0.5mg…미 학술지 효과 순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2.14
23개 연구에서 탈모치료제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한 뒤 24주 후와 48주 후의 총 모발 수와
말단
모발 수 변화를 비교했다. 주요 탈모치료제의 효과를 직접 비교한 첫 연구다. 세 가지 탈모치료제는 모두 다른 치료를 위해 개발됐다. 두타스테리드와 피나스테리드는 본래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이며,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