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미
종단
맨 끝
종료점
끝
말기
종점
뉴스
"
말단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큰 이유는 뇌하수체에 양성 종양이 생겨 성장호르몬을 과다하게 분비함으로써
말단
비대증과 거인증이 발생한 상태였다. 1783년 6월 찰스 번은 자신이 죽고 나면 해부학자들이 자신의 시신에 손을 대지 못하도록 바다에 묻히고 싶다고 말했다. 그 직후 갑자기 건강이 나빠져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 ...
챗GPT 열풍?...의료현장서 자리잡는 영상판독 AI
동아사이언스
l
2023.03.13
학습시켜 CT 영상을 실시간으로 판독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했다. 검증실험에서는 대장염,
말단
회장염, 상행결장게실염 등 충수염과 유사한 질환을 걸러내면서 89.4%의 정확도로 충수염을 구별해냈다. ● ICT기업·스타트업 두각 드러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과 의료영상 AI 전문 스타트업들도 두각을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연구팀은 이를 'GYM 서열'이라고 이름붙였다. 기존에는 다이서가 miRNA 전구체의
말단
을 인식해 자른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연구팀은 GYM 서열 발견으로 다이서가 miRNA 전구체의 내부 서열을 인지해 스스로 절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GYM 서열은 RNA 치료기술로 ... ...
텔로미어와 미토콘드리아 간 상호 작용이 암 예방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8일(현지시간) 게재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말단
의 보호 구조를 지칭하며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중요한 유전 정보를 대신해 사라지는 보호막 역할을 수행한다. 텔로미어 길이가 일정 수준 이하로 짧아지면 세포는 분열을 멈추는 노화 상태로 들어간다. ... ...
간편해지는 알츠하이머병 진단…스마트패치로 무혈검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등장하고 있다. 토마스 캐리거리 미국 펜실베니아 피츠버그대 교수 연구팀은 신체
말단
에서 뽑아낸 혈액에서 알츠하이머병을 확인하는 진단법을 지난달 국제학술지 ‘뇌’에 발표했다.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한 타우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추출한 뒤 뇌 신경세포의 손상을 발견하는 ... ...
DNA ‘미끼’로 한번에 여러 바이러스 검출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DNA는 이중나선 구조를 갖고 있다. 두 개의 가닥이 꼬인 구조다. 연구팀은 한 개 가닥
말단
에 일종의 낚시 바늘을 붙였다. 이 낚시 바늘은 표적 바이러스의 RNA에 결합하도록 설계됐다. 낚시 바늘에 RNA가 걸리게 되면 곧장 밀리초 (ms·1ms는 1000분의 1초) 단위로 분자 구조가 분석된다. 연구팀은 ... ...
주변 환경 따라 성장방향 바꾸는 인공물질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힘든 극한 환경을 탐사하는 로봇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왼쪽부터)
말단
성장을 통해 성장하는 식물의 화분관, 세포의 성장을 모사하는 물질 시스템. 물질 시스템을 성장하는 전선으로 활용해 회로를 완성했을 때 전구에 불이 켜지는 모습 ... ...
혈액으로 알츠하이머 진단 길 열릴까…비싼 검사법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했다. 이 항체는 타우단백질의 정보를 그대로 갖는 동시에 신체
말단
에서 흐르는 혈액으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생성된 항체가 실제 타우단백질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직접 뽑아낸 타우단백질과 항체를 비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딥러닝 의사결정 설명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23
예정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서병창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경세포
말단
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하는 단백질 '전압의존성 칼슘채널'의 활성에 대한 분자적 기전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세포간의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 ...
박테리아보다 작은 생체 구조 3D 이미지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발생되는 왜곡을 보정해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었다. 개발한 내시경은 광섬유
말단
에 어떠한 장비도 부착하지 않아 내시경 프로브의 지름이 350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로 매우 얇은데, 이는 피부에 놓는 주사 바늘(약 500μm)보다도 가늘다. 이를 이용해 쥐의 융털(소장 안에 있는 구조물)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