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실록"(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420
- 올렸다.○議政府、六曹、春秋館二品以上議上大行王妃諡曰: 恭惠 【敬順事上曰恭, 寬裕慈仁曰惠。】 , 陵曰: 順, 魂殿曰: 昭敬성종실록 41권, 성종 5년 4월 19일 계유 2번째 기사(sillok.history.go.kr/id/kia_10504019_002, 자료제공). 여기서 '공혜(恭惠)’란 공경하고 유순하게 윗사람을 섬김을 공(恭)이라 하고,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5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2편 영릉: 영릉, 세 개의 묘비가 말해주는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수소황후의 애달픈 이야기기사 l20160419
- 其須詳焉, 不當夸大焉。 每當國忌, 以其沖年, 若不爲備素膳, 則以中官, 召掌膳宮人, 嚴辭諭焉, 內外之人, 莫不動色矣。 영조실록 20권, 영조 4년 11월 26일 임신 2번째기사(http://sillok.history.go.kr/id/kua_10411026_002, 자료제공).인용한 행록 가운데 영조가 아들 경의군의 사람됨을 서술한 부분은 붉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4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1편 공릉: 온순하고 너그러우며 아름답고 어질고 자혜로운 장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325
- 今正位號, 凡節日方物, 月令物膳, 固當如禮封進。 但比來國家多故, 民間事煩, 如禮取辦, 重困民力, 心實未安。 姑減數封進。"성종실록 2권, 성종 1년 1월 25일 갑진 8번째기사(http://sillok.history.go.kr/id/kia_10101025_008, 자료제공). 성종의 할머니인 자성대비(정희왕후)는 민생안정과 안치된 지 오래된 능 ...
- 제가 전에 서울대(롯데월드 사진도 조금)에 가서 친구들이랑 사진 찍은 거에요. 서울대 규장포스팅 l20160202
- 제가 전에 서울대(롯데월드 사진도 조금)에 가서 친구들이랑 사진 찍은 거에요. 서울대 규장각 안에 정조실록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사진 한 컷 좀 찍고왔어요..(정조가 임금 자리에 오랫동아 없어도 실록이 이렇게 두꺼운데.. 영조실록은??과연)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3회 파주 장릉을 다녀오다 누구를 위한 반정인가? 굴곡진 삶을 오롯이 닮은 인조 이야기기사 l20151221
- 모조로 불태운 인조의 비윤리적이고 비정상적인 의도를 달리 해석할 방법이 없습니다. 사정이 이처럼 명백한데도, 위에서 인용한 실록의 마지막 말처럼, 그런데 이 사실을 외인(外人)들은 아는 자가 없었고, 상(上)도 알지 못하였다(而外人莫有知者, 上亦不之知也). 고 한다면 너무 뻔뻔한 일이 아닐까요? 소현세자는 귀국할 당시에 친한 독일인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2회 양주 온릉을 다녀오다 비정한 아버지의 선택 그리고 단경왕후 이야기기사 l20151210
- 이것은 당시의 뒤얽힌 정치적 상황을 사관이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어서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실록이 이러한데 승정원일기는 얼마나 적나라할까 싶어 호기심이 날로 늘어가는 중입니다. 하지만 읽기 쉬운 해서가 아니라 흘림글씨인 초서로 쓰여진 승정원 일기는 아직도 번역중이라고 합니다.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 ...
- 인평대군의 묘역을 다녀오다. 조선의 임금들이 가장 사랑한 대군.기사 l20151115
- 禮官追上儀註, 上以淺淡服烏角帶, 出臨擧哀。 王世子率百官進慰如儀。 上命承旨史官毋得入, 仍獨臨喪次。(사진과 글,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제공) 1658년 5월 13일(효종 9), 조선의 임금이 그의 아우가 죽었다고 해서 한달음에 달려가 왕실의 예법이 아닌 가인, 즉 한 집안의 예로써 초상을 치뤘다는 말이다. 또한 승지와 사관조차 들어가지 못 ...
- -한글날 기념- 한글에 대해 파헤쳐보자! 한글날 기념이에요-기사 l20151007
- 이름이다.•실제 한글은 모든 언어를 표기할 수 있는것은 아니다. *기타↑ 사실 훈민정음 반포일의 정확한 날짜는 모른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46년 음력 9월 29일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고 되어 있는데,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 말문(末文)에는 ‘정통 11년 9월 상한-세종 28년 9월’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책으로 펴냈 ...
- 독도는 우리땅! 소중한 우리 땅 독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독도가 우리땅인 이유를 알아봅시다.기사 l20150725
- 시대에는 안용복이라는 어부가 들어와서 일본 사람들을 몰아내어 독도를 지키곤 했습니다. 2. 독도가 우리 땅인 이유 독도는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우리 땅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조선시대 때부터 일본은 조선을 탐했습니다. 그 이유는 독도가 경제적 지리적으로 많이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일본이 독도를 탐하다가, 일제 시대 때 일본이 ...
- 경복궁 탐사 체험학습 경복궁 체험학습기사 l20150322
- 다른아이들이 내 능력자옷을 보고 흩어지지 않기 위해서다. 먼저 지도를 보았다. 지도에 내가 도서관에서 빌려서 보던 '조선왕조실록'의 한부분이 있었다. 그 한부분에서 경복궁의 이름이 정해진 이유도 있었다. 경복궁은 조선 태조 4년에 건립되어 임진왜란때 소실됬지만 고종2년에서 고종 5년 사이에 흥선 대원군이 재건하였다. 맨처음은 중국 ...
이전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