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실록"(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도의 날', 사랑하는 독도 영원하기를!기사 l20211024
- 독도는 지금의 '독도' 에 이르게 전, 우산국 등의 이름이 있었다는 것도 알아두시고요~^^. 그리고, 조선 초기 관찬서인 세종실록 지리지(1454년)에 따르면 울릉도와 독도가 강원도 울진현에 속한 두 섬이라는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1696년에는 일본 막부가 돗토리번을 통해 울릉도와 독도가 일본령이 아님을 확인하고 다케시마(울릉도) 도 ...
- [기억한데이] 훈민정음이 창제된 날, 한글날을 아시나요?기사 l20211009
-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세종대왕 혼자서 28자의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적혀 있고 1443년 12월 30일자의 세종실록에는 ‘이 날짜에 훈민정음 28자를 새로 만들었다’는 기사가 나와 있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여러 근거들이 발견되어 세종대왕 혼자 창제하였는지, 학사들과 함께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있 ...
- [10월 기억한DAY] 한글날에 대해 아시나요?기사 l20211003
- 창제됬다고 해요... 그래서일까요? 세종실록의 기록을 보면 훈민정음에 대한 결과만 있고 구체적인 내용은 적혀있지 않았어요. 분명 실록은 왕의 일거수일투족을 적는 것인데 말이예요. 그때! 훈민정음의 창제를 반대한 세력들이 나타나게 되요! 바로, 최만리를 포함한 집현진 학사들이예요. 이 사람들은 중국과의 관계를 중요시 생각해서 중국의 ...
- 조선의 신문, 조보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10613
- 중국과의 외교 문제를 일으킬지도 모르는 내용은 조보에 담기를 금지했다고 합니다. 이런 내용들을 담고 있는 조보는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중요한 자료로도 쓰였다고 합니다. 왕도 조보를 보았는데 그 일을 따로 담당하는 관리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 관리는 기별체로 쓰지 않고, 바른 글씨체로 또박또박 썼다고 합니다. 왕이 보는 조보 출 ...
- 우리나라 영토, 독도가 소중한 이유와 우리 땅인 이유를 알아보자!기사 l20210525
- 훨씬 가깝습니다. 게다가 조선시대의 안용복은 일본에 직접 찾아가 독도와 울릉도가 우리 땅인 걸 증명합니다. 또한 고종실록 등 많은 역사서에도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가 있습니다. 그리고 독도에는 독도 수비대를 비롯해 한국사람 약 40명이 살고 있습니다. 오늘은 독도가 소중한 이유와 우리 땅인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렇게 소중한 우리 땅 ...
- 쿸런 이야기 2기 18화 또 다른 팀원포스팅 l20210501
- 말했습니다. 마법사: 그리고... 마법사가 감초 쪽으로 다시 시선을 돌리며 말했습니다. 마법사: 너... '그 쿠키' 맞지...? 그 실록에 기록 되어있는... 감초: ... 감초는 한숨을 푹 내쉬었습니다. 감초: 맞아. 내가 '그 쿠키'야. 용감: 아니 계속 '그 쿠키'라면 우리가 알아 듣나. ...
- 좀비 실록포스팅 l20210403
- 출처:옥스포드 공식 블로그아래에 제품 이름이랑 미치 갯수가 나옴니다, 미피가 다 합치면 50개 넘음 ㅎㄷㄷ ...
- 드라마 '조선구마사' 역사 왜곡 논란에 대해서기사 l20210401
- '지라시'라고 표현한 바가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은 왕이 개입하지 않은 그야말로 진실만이 쓰여 있는 실록이므로 조선왕조실록을 모욕하는 것은 우리의 역사를 모욕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 점도 심각하게 생각해 볼 바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철인황후는 방영 전에도 중국 드라마 '태자비승직기'를 원작으로 해 논란이 되었던 것 ...
- 독도가 우리땅인 이유기사 l20210216
- 우산국(독도)을 점령하였다"고 하였다. 사진출처: http://contents.nahf.or.kr/eddokViewer/contens.do?viewType=Elementary&levelId=eddok.d_0002_0030_0020 세종실록지리지(1454년): "우산도(독도)와 무릉도(울릉도) 두 섬은 울진현의 정동쪽 바다에 있다. 두 섬은 ...
- 믿거나 말거나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 시리즈 ٩(๑>∀포스팅 l20201216
- com/presscorps/postview/256503 } # 1 : 책에서 잉크의 무게는 1 / 100 이다 . # 2 : 과거 유럽에는 말하는 물개가 있었다 . # 3 : 조선왕조실록의 글씨체는 무척 특이한 필기체로 써있다 . # 4 : 18세기 이후 모든 사람들은 돌연변이이다 . # 5 : 사람이 죽으면 영혼이 없어지기 때문에 체중이 준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