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량"(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것이다. 도심 지역은 기지국이 몰려 있지만, 외곽으로 갈수록 띄엄띄엄 있기 때문에 삼변측량이 어렵다. 또한 기지국 방식은 위치 추적 범위가 수백m에서 수 km에 이를 정도로 넓은 단점도 있다. 납치범의 위치, 어떻게 알 수 있을까?만약 납치범이 X 지점에서 협박 전화를 걸었다면, 통화를 하기 위해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벽돌을 4:2:1의 비율로 구울 정도로 비율에 대해 알았고, 건축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측량도구도 사용했다.우리가 쓰고 있는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십진법은 아라비아 숫자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 기원은 인도에 있다. 기원전 6세기부터 8세기 사이에 숫자와 십진법이 완성됐는데, 나중에 아라비아로 ...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과학동아 l2012년 05호
-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로 나뉜다. AUV는 음파나 초음파를 이용해 해저 지형 등을 측량한다. 해저도시 건설에 필요한 것은 ROV다. 조종 설비를 갖춘 선박을 통해 광통신으로 조종, 바다 속에서도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다. 절단, 수송, 용접 등 다양한 작업에 사용한다.수중로봇과 잠수부가 수년간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계산할 수 있다.선의 길이는 태양에서 각 펄서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외계생명이 삼각측량을 이용한다면 태양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태양의 위치를 기록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외계인들이 이 동판으로 지구의 위치를 알고 지구에 공격할 수 있다고 여겼기 ... ...
- 수학 - 삼각함수의 활용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삼각법의 발달은 측량기술의 발달과 역사를 같이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사인값을 0.5도 간격으로 구해 측량에 썼다. 흔히 보는 건축물을 지을 때 출발점이 바로 삼각법이다. 또한 근대수학이 발전하면서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주기적 현상들을 삼각함수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게 됐다.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해 각 위성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 거리를 이용해 삼각측량방식으로 스마트폰의 3차원 위치정보인 위도, 경도, 고도를 계산한다. GPS를 이용할 경우 5~10m의 오차 범위에서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어 가장 정확하게 위치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위성의 신호를 받아야 ... ...
- “수학은 뇌 전체 훈련에 효과적”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몽주 탄생가스파르 몽주는 프랑스 본에서 태어났다. 재능이 뛰어나 어릴 때 소화펌프와 측량기를 만들었고, 16세 나이로 리옹과 본에서 물리 교사가 된다. 그 뒤 육군 공병사관학교에 입학해 종이 위에 입체의 투영도를 그려서 3차원 입체를 2차원 평면으로 표현하는 방법인 화법기하학을 창시한다. ... ...
- Part 6. 고민해결! 수학대회를 열어라!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공부한다 라는 말을 남기셨죠. 이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요. 수학이 천문이나 토지측량 등에 쓰이는 실용적 학문이기 때문에 왕이 아닌 기술관리가 공부해야 하는 학문이라는 뜻과 수학에는 실용적 측면뿐만 아니라 합리적 사고도 있다는 뜻이 있죠. 세종대왕은 두 번째 뜻을 더 중요하게 ... ...
-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한쪽 눈을 감고 양 쪽 구멍을 통해 학교 건물을 바라보았다. 건물의 정중앙을 바라보고, 측량 도구를 그대로 바닥에 내려 A 지점에서 시작하는 짧은 직선을그렸다. 다시 오른쪽으로 5m 정도(약 15걸음) 이동해 그곳을 B라고 표시했다. 같은 방법으로 B 지점에서 시작하는 직선을 그렸다.후후 자꾸만 ... ...
- 가장 자세한 달 지형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결과를 이용했지요.레이저 고도계측기는 레이저를 쏘아 달 표면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측량하는 기구예요. 이를 이용해 사진에서는 달의 높은 부분은 붉은색으로, 낮은 부분은 푸른색으로 나타냈지요. 이 사진을 이용하면달 탐사선이 어디에 착륙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알아낼 수 있답니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