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량"(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영향을 미쳤다. 특히 측량 기술은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한 삼각 측량을 이용한다. 삼각 측량은 평평한 땅에 기준이 되는 선분을 그어 길이를 재고, 물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인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이렇게 여러 수학자가 연구했던 삼각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삼각비를 활용한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여섯 바퀴 정도 걸릴까?”마법사가 말했다. 질문이 아니었다. 그녀는 이미 가방에서 꺼낸 측량기로 머나먼산과 그들 사이의 거리를 재고 있었다.길잡이는 자존심이 상했다.그녀도 그 정도 질문에는 얼마든지 답을 해줄 수 있었다. 하지만 마법사는 그녀의 고용주가 아니었다.그녀는 세 번째 큰 바퀴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종으로 진화한다.’다윈이 진화론의 기초를 세울 수 있었던 건 젊은 시절 5년 간 해군측량선인 비글호를 타고 세계 일주 항해를 한 덕분이에요. 그는 남아메리카에서부터 남태평양의 여러 섬들과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등 전세계를 항해했어요. 그리고 각 지역의 지형과 지질은 물론 동식물의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수 있다는 것이에요. 폭이 큰 강이나 높은 산이 가로막고 있을 때 직접 재지 않아도 삼각측량을 활용하면 거리를 구할 수 있어요.어때요? 지도 한 장에는 그 지역의 형태와 역사는 물론이고, 지도에 필요한 수학까지 다채로운 내용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나요? 지도 위 세상을 만나러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알 수 있다.측량선이 이동하는 항로는 멀티빔이 측량한 영역이 약 30% 겹치도록 계획한다. 측량오차가 큰 바깥 부분에서 더욱 정확한 수심 값을 골라내기 위해서다. 이렇게 수심을 구한 다음 물때와 관련된 정보를 반영해 바닷물이 가장 빠졌을 때의 수심 값으로 환산한다. 우리 바다와 해상 안전,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물 속으로 들어갔다. 실측 작업을 위해서다. 실측 작업은 선박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측량작업이다. 최첨단 기술이 발전한 21세기에도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걸까. “사이드 스캔 소너(측면주사음파탐지기)나 다중빔음향측심기와 같이 음파를 이용해 지형을 그리는 탐사 기법도 있어요. 하지만 ...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현재 연구팀은 40기의 왕릉과 13기의 원(후궁이나 왕세자, 세자빈 무덤)에 대한 측량을 완료했고, 왕릉 보고서 발간도 곧 마치게 됩니다. 이제는 이들 자료를 잘 정리해 분야별 또는 주제별 연구서 등을 발간할 계획입니다. 예를 들면 조선 왕릉에서 발견된 공예품에 대한 연구서 등이 계획돼 있습니다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각각 1.8m, 2.6m로 매우 컸으며, 열악한 인쇄 기술 탓에 16장으로 나뉘어 발간됐다. 아마추어 측량사라며 스미스를 견제하고 차별했던 당시 귀족 중심의 영국 학계는 충격에 휩싸였다. 이후 전 세계의 석탄·석유 개발과 광업, 운하와 철도 건설이 이 지질도에 근거해 이뤄졌다.당시 세계에서 가장 ... ...
- 토성 위성의 땅 밑에 바다가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있을 거라고 추정했답니다.연구팀은 미마스의 흔들림을 관찰하기 위해 스테레오 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했어요. 이 기술은 미마스의 표면에 수백 개의 지점을 지정한 다음, 그 지점을 각기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관측하여 3차원 지도를 제작하는 기술이에요. 지도를 만든 연구팀은 미마스의 형태와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지구물리연구실과 세계보건기구(WHO) 타이숲 에볼라프로젝트 공동연구팀이 ‘사진측량공학 및 원격탐사(PE&RS)’ 저널에 발표한 논문쌀뤼! 쥬마뻴 에볼라(안녕! 내 이름은 에볼라야). 기니에서 프랑스 말을 좀 배웠는데, 이젠 한국어도 좀 배워야겠어. 우리 언제 만나게 될지 모르잖아? 그동안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