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d라이브러리
"
전극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문질문질 꾹꾹, 움직임 속 전기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얻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요. 물은 극성을 띠기 때문에
전극
이 붙은 판 위를 흐르면
전극
속 전자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어요. 이 전자의 움직임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거죠. 물을 흘려주는 방식을 다양하게 바꿔가며 발전기를 만들고 있어요. 물을 드럼세탁기처럼 회전시키기도 하고, 나선형의 ... ...
[특집] 숨은 전기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구조를 갖고 있어요. 바람이 불면 필름이 위 아래로 빠르게 펄럭거리며 외부의 알루미늄
전극
과 마찰이 일어난답니다. 이 마찰로 인해 전기 에너지가 생기는 거죠.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특집] 야생의 전기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0호
만들었어요. 실리콘과 눈 사이에 마찰전기가 발생하면 실리콘으로 옮겨간 전자가
전극
으로 이동하며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원리죠. 이 발전기를 신발 밑에 깔면 눈을 밟을 때마다 전기 에너지가 발생해요. 또한 발전기 위로 눈이 스치고 지나가도 전기 에너지가 생기죠. 연구팀은 “이 발전기는 ... ...
[만화뉴스]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생산한 전기가 리튬이차전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리튬이차전지 표면에 탄소를 넣어
전극
을 같게 맞췄어요.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전지는 실내조명으로 충전한 뒤 사물인터넷 센서도 작동시킬 수 있었답니다 ... ...
기발한 연료 3총사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촉진하는 촉매인 백금 가루를 덮었다. 메탄올이 산화되며 발생하는 에너지로 다리의
전극
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움직이도록 만들었다. 현재 로비틀은 앞으로만 움직일 수 있으나 향후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추가로 개발할 예정이다. 로비틀은 로봇 분야 연구자들에게 깊은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그림처럼 왼손
전극
에서 왼발
전극
으로 전류를 흘려보낸 다음 왼손
전극
과 오른손
전극
사이의 전압을 측정해요. 그러면 전압 측정 범위 내에서 전류가 흐른 부위(점선)인 왼팔의 저항만 측정되는 것이죠. 제 결과표를 보니 모든 부위에서 체지방률이 평균보다 높았어요(눈물). 홈트 TMI ② 내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은(Ag)을 그물 모양의 나노 섬유로 제작했다. 은 나노 섬유가
전극
과 무선 안테나 역할을 하게 했다. 은은 잘 휘어지고 투명하기 때문에 콘택트렌즈 소재로 안성맞춤이다.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근거리무선통신(NFC) 칩도 콘택트렌즈에 탑재했다. 마지막으로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위한
전극
은 머리카락 두께의 4분의 1정도로 얇은 실 형태다. 로봇을 이용해 이런 모양의
전극
수천 개를 뇌에 심으면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고 받을 수 있다.머스크는 2020년 사람에게 직접 테스트할 계획을 발표했다. 만약 AI 이식에 성공한다면 뇌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제어하고, 컴퓨터의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하는 게 목표다. 더불어 디스플레이에는 퀀텀닷 입자만 있는 게 아니라 그 퀀텀닷을
전극
, 전자 수송층 등의 여러 물질이 둘러싸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물질들이 새로이 개발된 퀀텀닷과 전기화학적으로 잘 어울리면서도 얇거나 잘 휘어야 플렉시블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뇌 오가노이드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브레인봇을 개발했어.
전극
으로부터 전해지는 뇌 오가노이드의 전기 신호를 컴퓨터로 보내 합친 뒤, 이 신호의 세기를 로봇의 빠르기로 바꾸었지. 컴퓨터에서 계산한 값은 블루투스 장치를 통해 브레인봇에게 전달됐어. 브레인봇은 뇌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