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엄밀"(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뤄진 염기서열이 반복적으로 자리하고 있다. DNA 염기서열을 읽어낸다는 것은 엄밀하게 따지면 염색체의 한쪽 끝에 위치한 텔로미어에서부터 다른 쪽 끝에 있는 텔로미어까지, 반복서열을 포함한 모든 염기서열을 밝히는 작업이다. 이를 ‘텔로미어 투 텔로미어(T2T)’ 게놈 지도라고 한다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친구라는 헤어날 수 없는 미궁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있는 것도 아마 빠져나가기 어려운 곳이라는 의미에서 함께 썼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엄밀하게 따지자면 수학적으로 미궁과 미로는 다른 의미다.미궁은 길이 하나밖에 없고 외길이 길고 꼬불꼬불하게 얽혀 있는 곳이다. 따라서 미궁에서는 길을 잃을 수 없다. 출입구에서 출발했다면 그냥 앞으로 ... ...
- [기획] 몇 번을 섞어야 무작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볼 수 있느냐에 따라서 7회만 섞어도 충분히 무작위하다고 볼 수도 있고, 12회까지 섞어야 엄밀하게 무작위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그 이유는 판단 기준이 되는 값이 ‘확률’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 던지기 시행을 여러 번 시도할 때 각 눈이 나올 확률인 1/6 로 딱 떨어져 나오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증명을 가지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수정하고 나서야 최종 증명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아이러니하게도 이런 검증의 엄밀함 덕분에 아벨과 갈루아의 업적은 생전엔 인정받지 못했지만, 그들이 남긴 기록을 바탕으로 사후에 인정을 받아 지금도 이름을 남기게 됐습니다. 피도 눈물도 없는 우선권 싸움수학적 업적을 인정받는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μm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가벼운 덩어리로 바뀐 것을 말합니다. 공기 감염은 엄밀하게는 비말 핵 감염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비말 핵에 붙어 공기 중을 떠다니다가 다른 사람을 감염시킵니다. 비말 감염에 비해 전파력이 큰 이유도 공기 중에 떠다니기 때문입니다.효과 측면에서 마스크는 비말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하나 있다. “약물 알레르기가 있습니까?” 필자가 세상에서 가장 싫어하는 질문이다. 엄밀하게 말해서 그 약을 먹어보기 전까지는 본인이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지 없을지 알 수 없다. 누구나 가지고 태어난 유전 변이에 따라서 약물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약물과 그 반응의 정도에 따라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름도 유명한 독일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은 구분구적법과 극한을 활용해 ‘적분’을 엄밀하게 정의했어요. 적분은 구분구적법으로 함수의 넓이를 계산할 수 있도록 수식화한 방법으로, 함수의 그래프를 그렸을 때 끊어지는 부분이 없다면 특정 구간에서 그래프와 x축이 만드는 영역의 넓이를 ... ...
-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선형대수학을 배우며 수학의 재미를 느꼈어요. 논리적으로 딱 맞아 떨어지는 수학의 엄밀함과 아름다운 구조를 알게 된 거죠. 중학생 때는 학원에서 문제 푸는 요령과 기술만 알려줬기 때문에 수학이 재미없는 학문이라고 생각했어요. 왜 풀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저보다 문제를 잘 푸는 친구도 ... ...
- [퍼즐마스터] 뉴욕의 퍼즐 고수 ‘앤서니 유노’수학동아 l2019년 02호
- Q 퍼즐이 수학적인 사고에 도움이 될까요? 퍼즐을 자주 풀다 보면 주의 깊고 엄밀한 사고력을 기를 수 있어요. 수학을 잘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죠. 수많은 위대한 수학자가 퍼즐을 즐겼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어요. 하지만 퍼즐을 하는 데 ‘무엇에 도움이 되니까 하면 좋다’는 이유는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킬로그램, 암페어, 켈빈, 몰 등 4개 단위가 새롭게 정의됐다. 이들 단위가 훨씬 정확하고 엄밀한 숫자로 정의됐다는 뜻이다. 국제도량형위원회는 회원국 대표들의 논의와 투표를 거쳐, 16일 4개 단위의 재탄생을 전 세계 언론과 대중에 공개했다. 단위 재정의 안건 투표는 세계 표준학계 저명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