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한다! 빼어난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무엇이든 곱셈의 결과는 0이 된다. 따라서 피자는 제멋대로 휜다. 이때 양쪽을 접어 가로 방향으로 살짝 곡률의 크기를 늘리면 피자는 빼어난 정리에 따라 가우스 곡률 0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 곡률이 0이 된다. 그래서 피자 조각을 세로로 접으면 도우가 구부러지지 않게 펴져 토핑이 떨어지지 않는다 ...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그런데 아무리 한 방향이라도 동물에 따라 걸음걸이 패턴이 다양한데, 어떻게 모든 한 방향 패턴을 7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는 걸까? 그 원리는 바로 ‘대칭’에 있다. 모든 패턴은 기본 패턴 요소를 7가지 방법으로 이동시켜서 만든 대칭 도형이기 때문이다. 그 7가지 방법이란 회전과 평행이동,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 한국의 과학정책 방향은 이와는 좀 다릅니다. 오랜 과학의 전통이 없었던 한국은,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국가의 경제 성장이라는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연구에 투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196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를 시작으로 ... ...
- 어떤 모양도 단번에 나눈다!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나눌 대상은 햄 샌드위치다. 직육면체 샌드위치라면 대각선 방향으로 칼질하면 한 번에 반으로 자를 수 있다. 만약 한쪽 빵은 누군가 귀퉁이를 뜯어먹었고 가운데 들어간 햄은 삐뚤어진 타원 모양이라면 어떨까? 샌드위치 재료를 마구잡이로 쌓아도 한 번의 칼질로 정확하게 반으로 자를 수 있을까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했다. 불가사리를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끝에서 중간으로, 총 세 방향으로 얇게 자른 후 RNA 단층 촬영 기법으로 유전자 발현을 분석했다. 그 결과, 불가사리의 몸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일반적으로 동물의 몸통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머리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가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매장 내에선 테이크 아웃 잔을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2023년 한 해간 카페에 갈 때마다 듣던 이 안내, 2024년에는 듣지 못한다.2023년 11월 7일 환경부가 ... 있다. 홍 교수는 “국제사회의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한국 정부가 일관적인 정책 방향성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점에서 곡선에 접하게 선을 그으면 x축 방향으로 아주 아주 작게 움직였을 때 y축 방향으로 얼마나 변화했는지 알 수 있다. 이 값을 계산할 수 있을 때 ‘미분 가능하다’라고 한다. 그리고 끊어지는 부분 없이 손을 떼지 않고 그래프를 따라 그릴 수 있는 그래프를 ‘연속’이라고 한다. 미분이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45로 유지되게 칼질을 4번 한 뒤 아무 조각이든 하나를 고른 뒤, 시계 방향이든 반시계방향이든 연달아 있는 조각을 차례로 하나씩 골라 먹으면 된다. 1994년 수학자 래리 카터와 스탠 웨이건은 직소 퍼즐처럼 피자를 조각내는 ‘해체 퍼즐’ 방법으로 수식 없이 이 문제를 증명했다. 해체 퍼즐은 ...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퍼져 나가는 모양을 보고 각 점마다 지수를 매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의 벡터가 시계방향으로 뱅글뱅글 도는 점의 지수는 +1, 나비의 양 날개처럼 퍼져 나가는 점의 지수는 +2다. 가마가 없는 벡터장에서는 벡터의 크기가 0인 점(털의 길이가 0인 점)을 모두 찾아 그 점의 지수를 더하면 0이 된다.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상황, 아이디어 등을 사람들과 함께 논의하지요. 나머지 절반은 이메일 답장, 회사의 방향에 관한 고민, 업계 동향 파악 등을 하는 데 써요. Q. 수학을 전공한 게 굿노트 개발에 도움이 됐나요? 대학에서 수학을 공부하지 않았다면 굿노트를 만들지 못했을 것 같아요. 5년 동안 혼자 굿노트를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