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양오염 지역 밝히는 에르고딕 이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상호 연관성을 연구하는 데에도 쓰인다. 연구팀은 먼저 해류를 방향과 크기를 나타낸 벡터로 분석해 물이 서로 섞이지 않는 구역을 구분했다. 그 결과 전체 해양을 기존의 5개 대양에서 7개 구역으로 다시 나눠, 해류 순환 모형을 발전시켰다. 예를 들어 인도양은 남태평양에 ...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의학계에서 BCI 기술은 마비 환자의 거동을 돕고, 의사소통의 창구가 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쓰이고 있다. 2023년에는 이 두 분야 모두에서 괄목할 만한 연구가 나왔다. ‘디지털 브릿지’로끊어진 뇌와 척수를 잇다 햇빛 따뜻한 공원 한쪽, 40세 남성 게르트-얀 오스캄이 연구원들이 지켜보는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2023년 12월, 국민의힘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겨냥한 1차 영입인재를 발표했을 때 박충권 현대제철 연구개발본부 책임연구원은 남다른 이력으로 큰 주 ... 깊게 파고들수록 시야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넓은 시야를 갖고 내가 가고 있는 길의 방향과 주변 세상을 둘러보면서 가길 바랍니다 ... ...
- 좀비의 확산도 전염병 모형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또 사망한 사람도 좀비로 변할 수 있어서 SZR 모형은 SIR 모형과 달리 상태 변화가 한 방향이 아니다. SZR에서는 좀비 감염률과 좀비 사망률, 시체가 좀비가 될 확률을 고려해 모형을 설계했다. 인류의 생존법, 좀비 길들이기 이 SZR 모형을 2019년 영국 셰필드대학교 수학과 박사 과정 학생들이 ...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상상 속 기술이 이제는 정말 실현되고 있다. 따라서 BCI의 기술적, 과학적 현주소와 발전 방향을 대중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과학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다. 사회적으로 합의된 틀 안에서 BCI 기술을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BCI를 개발하는 기업이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실과 다른 정보를 과대 ... ...
- 수학으로 엿보는 미래 사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나라의 흥망성쇠를 예측할 수 있는 완벽한 도구는 아니라고 말한다. 현재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지 길잡이 역할을 할 뿐이라는 거다. 만약 사회가 과거 혼란이 있던 시기와 비슷하게 흘러간다면, 다른 길로 돌아가거나 사회 구조를 바꿀 수도 있을 것이다 ... ...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퍼지기 시작하는 p가 약 0.6962임을 증명했다. 산이 무한히 넓다고 가정하고 산불의 진행 방향과 규모를 분석하면, p가 0.6962 미만일 때는 불이 어느 정도 번지다 꺼진다. 즉, 불난 곳 주위에 나무가 있는 육각형이 대략 4개 미만이면 불이 숲 전체를 태우지 않는다. 반면 p가 0.6962 이상일 때는 불이 산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팔이 움직이고 있다’ 정도만 알 수 있다면, 침습적 방식으로는 팔이 움직이는 방향과 손가락의 움직임 정보까지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뇌파로 고차원적인 일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침습적 방식이 불가피하다. 뉴럴링크도 침습적 방식을 사용한다. 2002년 존 도너휴 미국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것도 아닙니다. 어떤 경우엔 달려가는 전차 위에 올라타서 더 빨리 달리게 할 때도 있고, 방향을 틀어야 하는 경우도 있죠. 심지어는 프로젝트를 중단하는 역할을 맡기도 해야 했어요. 상황에 따라 다른 전략으로 임해야 했습니다. 이 일련의 과정과 대응 방식은 대표자가 정치를 하는 방식과 완전히 ...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지금처럼 움직인다는 가정 아래 암석의 자기 정보를 분석해 판이 움직이는 속도와 각도, 방향 같은 정보를 이용해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판이 이동하는 속도는 각각 조금씩 다르다. 태평양 동부 남반구 부분의 해양판인 나스카판은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160mm씩) 정도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