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재
d라이브러리
"
모래자갈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남해안에 있는 사량도에 천문대가 생겼어. 제주도를 빼면 사량도는 천문대가 있는 유일한 섬이야. 이런 소식을 듣고 가만히 있으면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가 아니지. 섬이라서 더 독특하고 재밌는 사량도천문대로 출발~. 반짝반짝 STEP ❶사량도는 유일한 별 보는 섬천문대에 가려면 별자리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는 8월 31일. 손에 들린 것은 망치와 정, 브러시. 풀 한 포기 찾기 쉽지 않은 황량한 곳에 덩그러니 남겨진 우리. 주위에 인기척 하나 찾기 어려운 이 곳은 캐나다 알버타주 공룡주립공원(Dinosaur Provincial Park). 7500만 년 전 이 땅을 지배했던 이들이 발 밑으로 보인다. 수없이 드러나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2004 오퍼튜니티개요 2003년 7월 8일에 발사돼 이듬해인 2004년 1월 25일 화성 메리디아니 평원에 착륙한 탐사 로봇. 길이 1.6m에 무게 약 175kg. 움직이는 속도는 초속 5cm. 1월 4일 착륙한 ‘스피릿’과 쌍둥이 로봇. 예상 탐사 기간은 90화성일(1화성일=24시간 37분 23초)이었지만 지금도활동중. 9대의 카메라와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지원아! 드디어 우리 차례가 왔어!야호~! 민이 언니, 우리 멋지게 첫 취재를 해 보자! 그런데 물고기를 보러 간다고 들었는데, 왜 바다로 가지 않는 거야?그러게, 경기도 가평이면 산이 많은 곳이잖아. 중앙내수면연구소? 이 곳에 진짜 물고기들이 있을까?우선 연구소 안으로 들어가 보자! 민물고기가 ... ...
우리가 버린 물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우리가 배출한 생활하수는 어디에서 어떻게 처리될까? 전국에 있는 462개의 하수처리장(하루 500t 이상 처리할 수 있는 시설 기준)은 미생물이나 화학약품으로 분해하거나, 자갈이나 모래를 이용해 하수를 자연여과시킨 뒤 다시 강으로 내보낸다. 그렇다면 물속에 있던 오염물은 완전히 사라지는 것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 아니 어떤 영화도 그렇게 무서운 장면을 담담하게 담아낸 적은 없었다. 해저 지진이 만든 집채만 한 지진해일(쓰나미)은 고속열차와 같은 속도로 돌진해 순식간에 평화로운 어촌을 집어 삼켜 버렸다. 목조건물은 산산조각이 났고 자동차들이 물살에 이리저리 휩쓸려 다 ... ...
슈퍼스타 어과동 동물 오디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으아~, 도대체 모르겠다!”여기는 ‘어린이과학동아’의 표지회의가 한창인 회의실. 창간 6주년을 맞아 12월 표지에 등장할 동물을 찾고 있다. 하지만 선정 기준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어린이과학동아’ 표지 모델인지라 쉽게 결정이 나지 못하고, 결국 편집장님은 특단의 조치를 취한다.“표지모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김소월 시인의 시 ‘엄마야 누나야’ 전문이다. 깨끗한 금빛으로 빛나는 너른 모래톱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소월의 고향은 평북 구성. 어린 시절 거닐던 대동강변의 모래톱을 그리며 이 시를 지었을까. 모래톱이 위험에 빠졌다. 특히 큰 강에 펼쳐진 ‘금빛 모래톱’은 대부분 사라질 태세다. ‘4대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안녕! 나는 역사상 최초의 건축가로 알려진 임호텝이라고 해. 나는 지금으로부터 약 4670년 전 이집트에 인간이 만든 가장 높은 건물인 피라미드를 지었지. 죽은 후에도 세상에서 가장 높은 건물을 세웠다고 자랑하면서 지냈는데, 최근에 피라미드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아니라는 소문을 들었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호주인 대부분은 해안지역에 살고 있다. 국토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내륙지방이 매우 건조해 인간이 생활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탓이다. 호주인들은 이 지역을, 해변을 바라보며 오지를 등지고 산다는 뜻으로 ‘아웃백(Outback)’이라 부른다. 호주 아웃백은 수십억 년에 걸쳐 지속적인 풍화작용을 겪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