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곤충"(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있어, 현장 과학 연구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생태학 연구자들이 작은 곤충 등을 살아있는 채로 포획하는 데 쓸 수 있을 거란 의미다. 그렇군! “전기가 흐르는 젓가락으로ㅍ짠맛을 느끼게 해주마!”(영양학상)_호메이 미야시타 일본 메이지대 교수 공동연구팀호메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바로 근육을 만들어주는 단백질이 가득한 곤충 사탕이지요! 미래의 식량으로 주목받는 곤충을 설탕 재료인 이소말트에 넣어 만들어 봤어요. 이상한 과자가게는 완성된 귀뚜라미 사탕과 밀웜 사탕을 직접 먹어보기도 했는데요, 과연 그 맛은 어떨지 빛의 속도는 얼마나 빠를까요? 크리에이터 ... ...
- [가상 인터뷰] 곤충 톡토기 피부 모방해 막히지 않는 인공 혈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물과 기름을 밀어내며 피부로 숨을 쉬는 톡토기 선수! 톡토기의 피부를 모방해 피가 막히지 않고 흐르는 인공 혈관을 만들었다는데일리가 취재했어.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작고 더듬이가 달린 절지동물 톡토기야. 썩은 나무 밑이나 늪처럼 서늘하고 습기 있는 땅에 살지. 톡토기는 폐가 ... ...
- [JOB터뷰] 국내 최초 꿀벌 수의사, 정년기 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확인했다면, 꿀벌과 친해져야 합니다. 꿀벌을 무서운 존재가 아니라 친하게 지낼 수 있는 곤충으로 생각해줬으면 좋겠어요. 꿀벌의 생리 습성을 이해하면, 꿀벌을 잘 대하는 법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꽃 위에 앉아 있는 꿀벌을 재빠르게 잡으면 쏘일 수 있지만, 손으로 천천히 감싸면 꿀벌은 ... ...
-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동물이나 곤충 등 각 생명체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해 만들어진 로봇이 있어요. 나비의 날개, 지렁이의 움직임 등 모든 게 로봇의 원리가 될 수 있답니다. 자연 모사 로봇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싶을 때, 그 해법을 자연에서 찾아 자연을 닮게 만든 로봇이에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대윤 ... ...
- [과학뉴스] 삼엽충 이마 가운데서 최초로 ‘홑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어요. 홑눈의 수는 절지동물마다 달라요. 오늘날의 곤충이나 갑각류는 3개만 갖고 있지만, 캄브리아기 초기에 살았던 원시 절지동물인 신다렐라(Cindarella)는 눈이 4개였지요. 독일 쾰른대학교 브리지트 쇠네만 연구원은 “절지동물이 가진 홑눈의 수를 통해 ... ...
- [과학뉴스] 다리 12개 지네 로봇 행성 탐사도 가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두 발로 걷는 로봇은 한 쪽 다리에만 이상이 생겨도 큰 문제가 된다. 그렇다고 곤충처럼 여러 개의 다리를 만들어 붙이자니, 다리들을 일사불란하게 제어하는 데 고성능 컴퓨터와 큰 전력이 필요하다. 미리아포드의 몸통은 총 6개의 마디와 관절로 구성됐다. 마디 하나에 다리가 두 개씩 달려있어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곰팡이인 녹강균을 뿌려주면 1주일 내에 사멸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했다. 수서곤충의 경우 물고기나 조류 등을 이용해 개체수를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적으로 적을 물리친다. 고대 중국의 병법서 ‘손자병법’에 쓰여있는 유명한 전략들이다. 하지만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발견했다는 일본인 연구자들의 주장은 그대로 받아들여졌다. 오랫동안 꾸준히 한반도의 곤충을 연구한 석주명이 보기에 이들의 연구는 빈틈이 많았다. 특히 같은 종의 나비를 크기와 색깔 등이 조금 다르다는 이유로 신종으로 보고하는 일이 잦았다. 이는 일본인 연구자들이 너무 적은 수의 표본을 ...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검증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하지만 실험은 쉽지 않다. 비싼 장비가 필요하거나 곤충에게 쏘이는 괴로움을 감당해야 할 때도 있고, 가끔은 100년 가까운 시간을 기다려야 하기도 한다. 이번 호에서는 이그노벨상 위원회를 감동시킨 인내의 실험들을 소개한다. 96년 동안 진행 중인 점도 측정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