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곤충"(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전투력 甲 총알개미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아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지요. 2012년 미국의 곤충학자 저스틴 슈미트가 발표한 ‘곤충 독침에 대한 보고서’에서 물렸을 때 고통 지수 1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악명이 높답니다. 5월 23일,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샘 로빈슨 박사팀은 총알개미, 보석침개미 등에 물리면 통증이 왜 그토록 오랫동안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등에모기과 곤충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등에모기과 중 점등에모기속 곤충들은 흡혈을 하면서 축산질병을 옮기기 때문에 눈여겨볼 필요가 크다. 다행히 국내에선 아직까지 인수공통감염 사례가 없고, 한국의 겨울은 워낙 추워서 감염 사이클이 이어지기 전에 병원체를 가진 점등에모기가 ... ...
- [숫자로 보는 뉴스] 빠르게 튕겨! 몸무게의 300배가 넘는 오줌을 누는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넘는 양의 소변을 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슈퍼 추진력’이라 불리는 이 능력은 곤충이 몸을 흔들 때, 몸에 묻어 있던 물방울이 몸을 흔드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튀어 나가는 현상을 말해요.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의 사드 바말라 교수 연구팀은 샤프슈터가 슈퍼 추진력을 이용해 많은 양의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의 여왕에겐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말뚝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몸에 묻거나 뱃속으로 들어갑니다. 말뚝버섯류의 점액질엔 설사약 같은 효과가 있어 곤충이 포자를 완전히 소화시키기 전에 포자들이 밖으로 나오죠. 말뚝버섯류의 포자가 멀리 퍼지지 않고, 대부분 근처에서 퍼지는 이유입니다. 재밌는 건, 사람도 말뚝버섯을 맛있게 먹는다는 점입니다.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콩과식물이었다”고 전했어요. 그러면서 “콩과식물은 전 세계에 널리 분포돼 있고, 곤충의 접근을 방해하는 화학물질이 적어 기주 식물에 적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
- [화보] 온 도시가 내 침대! 걸리버 고양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곤충을 따라다니는 것을 보고 작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만약에 우리가 곤충처럼 작아진다면 고양이가 얼마나 크게 느껴질지 상상해 보았지요. 아마 고양이가 고층 건물 사이를 한두 발자국으로 건널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하게 느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고양이와 함께 살다 보니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있어, 현장 과학 연구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생태학 연구자들이 작은 곤충 등을 살아있는 채로 포획하는 데 쓸 수 있을 거란 의미다. 그렇군! “전기가 흐르는 젓가락으로ㅍ짠맛을 느끼게 해주마!”(영양학상)_호메이 미야시타 일본 메이지대 교수 공동연구팀호메이 ... ...
- 박멸이 답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주의보 발령일의 추이를 봐도, 작은빨간집모기가 점점 빨리 나타나는 걸 볼 수 있어요. 곤충인 모기는 변온동물입니다. 기온이 따뜻해질수록 체온도 따라서 같이 올라가지요. 체온이 올라가면 대사 활동이 활발해져 유충이나 성충인 상태로 겨울을 보내던 모기가 자연스럽게 바깥으로 나옵니다.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깔따구 유충의 유무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역학조사에는 물 관련 전문가 및 수서곤충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당시 제주 강정정수장 역학조사반장을 역임했던 곽인실 전남대 해양융합과학과 교수(한국환경유전자학회장)를 만나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봤다. 곽 교수는 유충의 형태와 DNA를 ... ...
- 불임 모기로 퇴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집트숲모기에 볼바키아 박테리아를 감염시켰습니다. 볼바키아 박테리아는 주로 곤충의 생식세포에 기생하는 세균입니다. 특히 암컷의 난자에 기생하며 짝짓기할 때마다 퍼져나가지요. WMP는 볼바키아 박테리아에 감염된 모기가 뎅기열에 걸린 사람을 물어도, 모기의 몸속에서 뎅기 바이러스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