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human"(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과학동아 l200306
- 탐지됐다.인간만이 갖는 또다른 정크DNA에는 레트로바이러스의 일종인 ‘HERV-K LTR’(Human Endogenous RetroVirus-K Long Terminal Repeat)이 있다. 이 유전자는 인간의 X염색체 상에서만 발견된다.이런 정크DNA는 기능을 가진 즉,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주요 유전자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기존 유전자의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과학동아 l200305
- 알리기까지 한다.3천7백70만달러(약 5백억원) 규모의 ‘인간형 로봇 프로젝트’(HRP, Humanoid Robotics Project)를 추진하는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HRP-1S’와 ‘HRP-2’라는 인간형 로봇을 선보였다. HRP-1s는 혼다의 2족 보행로봇을 바탕으로 높은 정밀도의 일을 할 수 있도록 발전시킨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과학동아 l200212
- 먼 훗날의 이야기지만 바이오인포매틱스의 완성은 실제와 똑같은 가상 인간(virtual human)의 탄생과 맥을 같이 한다.현재 초보적인 단계의 가상세포(virtual cell)와 가상장기(virtual organ)가 등장해 관심을 끌고 있다. 유럽에서는 수천만개의 가상세포가 연결된 심장 장기를 위해 유럽에서 가장 큰 ...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과학동아 l200212
- 역사적 사건이 일어났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인간게놈프로젝트 국제컨소시엄(Human Genome Project)과 미국의 셀레라 지노믹스사가 인간이 가진 유전정보의 총합인 게놈을 대부분 밝혀냈다며,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공동으로 발표한 것이다.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등장한 과학자들이 인간이란 생명체의 ...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과학동아 l200202
- 꼭 맞는 골수를 찾기가 매우 어려웠다. 골수이식을 위해서는 ‘조직적합성항원’(HLA, Human Leukocyte Antigen)이 일치해야 한다. 타인의 골수를 이식할 경우, 사람의 몸은 이를 외부의 적으로 간주해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조직적합성항원이다. 적이 아니라 ...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과학동아 l200201
- 인간프로테오믹스 연구협력을 위한 기구를 형성했다. 이름하여 인간프로테옴기구(HUPO, HUman Protein Organization). 이 기구는프로테오믹스의 확산을 위한 기술적∙교육적 활동을 벌이고 있다.단백질을 찾는 일은 보석을 캐는 작업과 같다. 프로테오믹스가 찾아내고자 하는 단백질은 대부분의 신약표적인 ... ...
- 인간복제가 동물복제보다 쉽다?과학동아 l200109
- 동물복제보다 안전하고 쉽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과학전문지 ‘인간분자유전학’(Human Molecular Genetics) 최신호에 발표된 이번 연구보고서는 또한번 인간복제를 둘러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연구를 이끈 듀크대학의 랜디 저틀 박사는 이 보고서를 통해 세포성장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인간의 ... ...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과학동아 l200109
- 수행 과정을 통해 살펴보자. ‘인간게놈프로젝트 국제 컨소시엄’(Human Genome Project, 이하 HGP)이 인간 유전체(게놈이라고도 한다)의 전체 염기서열을 밝히기 위해 제일 먼저 한 일은 24개의 염색체에 나뉘어 있는 33억 염기쌍을 BAC(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클론이라는 조각으로 나누는 일이었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과학동아 l200103
-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으로 구성된 국제컨소시엄인 인간게놈지도작성팀(HGP, Human Genome Project 이하 다국적팀)과 미국 벤처기업인 셀레라 지노믹스사(이하 셀레라)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한 연구를 통해 인간게놈의 염기서열을 약 99% 정도 밝혀낸 것이다.한마디로 이번에 발표된 연구결과는 ...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과학동아 l200102
- 제기되면서부터, 비로소 인간과 컴퓨터 간의 소통을 위한 인간 인터페이스 디자인(Human Interface Design) 연구가 시작됐다. 그 이후 컴퓨터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과 ‘풍부한 감각의 개발’이라는 두가지 측면에서 꾸준히 연구됐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