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짜뉴스를 피하는 방법 2025.03.01
- C., & Rand, D. G. (2024). Fact-checker warning labels are effective even for those who distrust fact-checkers. Nature Human Behaviour, 8(10), 1957-1967. https://doi.org/10.1038/s41562-024-01973-x.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죽음의 공포가 낯선 것 배척하게 만든다2024.05.11
- Motyl, M., Hart, J., Pyszczynski, T., Weise, D., Maxfield, M., & Siedel, A. (2011). Subtle priming of shared human experiences eliminates threat-induced negativity toward Arabs, immigrants, and peace-making.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7(6), 1179-1184.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2023.10.22
- Barré-Sinoussi)와 몽타니에(Luc Montagnier)는 에이즈의 원인이 되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아래 HIV)를 발견했다. 몽타니에는 림프절병증관련바이러스(lymphadenopathy-associated virus, LAV)라 했으나 1986년부터 HIV라 부르기 시작했다. 지누시와 몽타니에는 에이즈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2023.10.07
-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8(2), 78-99. Wu, J., Balliet, D., & Van Lange, P. A. (2016). Reputation, gossip, and human cooperatio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10(6), 350-364.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교수.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RISD)에서 시각디자인 학사를, 카네기멜론대에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석사와 컴퓨테이셔널디자인(Computational Design)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UX 디자인 리서처로 근무했다. 주 연구 분야는 UX, HCI,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 등이며 현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시사점’에서는 첨단로봇에 활용되는 AI 기술을 인식, 판단, 동작, HRI(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ion) 네 분야로 구분한다. 우선 로봇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인식하는 분야인 ‘인식’이다. 이어 이렇게 인식한 정보를 해석해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 ...
-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바로 그런 시도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Human Genome Project)’였다. HGP는 1990년부터 2003년까지, 23년 동안 약 3조 원의 자금을 투입해 인간 유전체 전체를 해독해낸 ‘생물학계 최초의 거대과학’ 프로젝트였다.그러나 HGP가 끝난지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변이도 찾아낼 수 있다. 2023년 5월 1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인간 범유전체(Human pangenome)’ 연구가 이러한 노력의 결실이다. doi: 10.1038/s41586-023-05896-x 국제 인간 범유전체 참조 지도 컨소시엄(HPRC) 공동 연구팀은 다양한 유전적 배경을 가진 47명의 유전체를 분석해 ‘참조 범유전체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