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한
냉
d라이브러리
"
한랭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01
날에 잘 내리며 눈송이가 커서 잠깐 동안에 온 세상을 하얀 은세계로 만든다. 매우
한랭
한 날에는 큰 눈송이로 성장되지 못한 가루눈이 내린다. 함박눈은 끈기가 있어서 잘 뭉쳐지지만 가루눈은 끈기가 없어 잘 뭉쳐지지 않는다.눈을 관찰하여 눈이 육각모양을 하고 있다는것을 처음으로 지적한 ... ...
세계의 대사막
과학동아
l
198612
되거나 한다.사막은 어디까지 넓혀지는가지금부터 1만8천년전, 최종빙기의 가장
한랭
한 무렵, 사하라사막의 남쪽 한계는 지금보다 약 5백㎞ 남하되어 있었다. 현재의 사하라 사막 남쪽에는 스텝(Steppeㆍ내륙의 건조초원)이나 사반나(Savanna.비가 적은 지대의 관목이 섞인 초원)가 펼쳐져 있으나 ... ...
4계절의 기후는 어떻게 바뀌어지는가?
과학동아
l
198606
대륙으로부터 이동해오는 고기압이 냉량건조하기 때문이다. 북서계절풍과 한파 겨울은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기단이 천후를 지배하는 계절이다. 시베리아의 바이칼호 부근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시베리아기단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고기압으로 그 중심은 1천 50여mb, 기온은 영하 30~40도에 ... ...
인도
과학동아
l
198605
6월에서 10월 상순에 걸친 습윤고온기, 그리고 10월 중순에서 2월에 이르는 건조
한랭
기의 삼계로 되어 있다.최고기온은 하지와 우계직전에 나타난다. 해안 가까이에 있는 캘커타에서는 그늘에서도 섭씨40도를 넘는 경우가 있으며 갠지즈강 중류지역에서는 섭씨43도 정도로 오르는 것은 보통이다.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03
하층에서는 현저한 기류의 역전현상이 나타나 알류산 저기압등과 합세하여 극동지방에
한랭
건조한 북서계절풍이 강하게 불게한다. 우리나라 서해안지방에 눈발이 자주 휘날리게 하다가 때로는 폭설이 되게도 하는 원인도된다. 이런 기후 속에서 땅속의 수분이 영구히 얼어있는 삼림한계선 북쪽의 ... ...
양평지방은 왜 추운가
과학동아
l
198602
있었다.환경청대기국 관계자는 "팔당댐건설로 넓어진 내수면이 강원도 쪽 협곡의 기류를
한랭
기류로 변화시켜 추위를 몰고 온것이 아닌가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댐을 막은 뒤 상류지역 내수면 면적이 넓어졌고 강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쉽게 얼어 강추위를 몰고 온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 ...
이전
2
3
4
5
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