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한
냉
d라이브러리
"
한랭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02
겨울에 최대 30%까지 차이가 난다. 겨울이 평소보다 한 달 이상 길어지고 수천 년 동안
한랭
한 시기가 지속될 수 있다.두 번째는 지구의 자전축이 4만 2000년을 주기로 공전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22~24.5°까지 다양한 각도로 기우는 경우다. 자전축의 기울기가 커질수록 여름철 극지방이 받는 햇빛의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12
북부지방은 겨울에 영하 40℃까지 내려갈 정도로 춥다. 여름도 서늘하다. 인간은
한랭
한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독한 술을 마셔 몸에 열을 냈다.술을 마시면 혈중 알코올 농도가 높아져 감각이 무뎌지고 두통이 심해진다. 술이 체내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단 술을 마시면 알코올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
과학동아
l
200703
혁명의 한 원인이 됐다.아시아에서도 소빙하기는 있었다. 중국에서는17세기 후반에 특히
한랭
해 감귤 밭이 피해를 입고 운하가 결빙하는 날짜가 늘었다. 일본에서도 여름이 서늘해 흉작으로 천명기근(1782~1787년), 천보기근(1833~1839년), 경응·명치 초의 기근(1866~1869년)이 찾아왔다. 이들은 일본역사상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09
때문에 주로 둥근 형태다. 이에 비해 너덜지대의 경우 지면에 노출돼 있던 돌에
한랭
건조한 상태에서 수분이 스며들어가 언 다음 부서졌기 때문에 각져 있다. 즉 어떤 기후조건에서 만들어졌는지에 따라 돌의 모양이 달라진 것이다. 또한 돌강은 경사가 15° 내외로 완만한 반면, 너덜지대는 약 30°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08
쉬기 때문’이라고 표현했다. 땅이 숨쉰다는 말은 봄철 주기적으로 상공을 지나가는
한랭
한 대기를 얼음골의 대지가 숨을 쉬듯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이에 대한 증거로는 봄철 여러 차례 나타나는 연속적인 저온 현상이라고 한다.아직까지 얼음골 미스터리는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변 교수는 ... ...
페트병 속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0203
주로 토네이도가 발생하는 까닭은 지표면 가까이의 대기가 고온습윤하고 상층대기가
한랭
건조한 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하층의 따뜻한 공기가 부력에 의해 급상승함으로써 토네이도의 모체가 되는 적란운(소나기구름)이 발생한다.이때 지표면 가까이 공기가 마치 청소기에 빨려드는 것처럼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01
따뜻한 기후에서 잘자라는 난지형 잔디의 대표주자다.여름에 고온다습하고 겨울에
한랭
건조한 우리나라 기후에 가장 적합한 잔디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서양 잔디인 캔터키 블루그래스다. 이 잔디의 생육 최적온도는 15-25℃로 장마기간 중 고온다습한 기후를 제외하면 우리나라 봄·가을의 서늘한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10
자주 발생하는 토네이도는 미국의 멕시코만의 고온다습한 기류, 캐나다의
한랭
한 기류, 그리고 로키산맥을 넘는 건조한 기류가 상호작용해 일어난다. 워터스파우트는 미국의 경우 서남해안이나 플로리다주 해안에서 종종 목격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조그만 보트를 전복시킬 수 있고 배에 큰 타격을 ... ...
왜 과학자는 과거 기후를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108
고기후에 관한 약간의 연구가 있다.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과거 수만년 동안 동해에서
한랭
과 온난이 여러번 되풀이됐으며 이러한 기후변화가 생태계와 퇴적물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이 밝혀졌다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06
툰드라지대가 형성됐다.빙기 때 번성한 식물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남하해온 빙하와
한랭
한 기후에 잘 적응한 이끼류와 담자리꽃나무(Dryas octopetala). 이들은 콩과식물처럼 뿌리에 공생박테리아를 가지고 있어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해 영양분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빙기의 척박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