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d라이브러리
"
초소형
"(으)로 총 271건 검색되었습니다.
400㎞ 떨어진 마다가스카르에 갈 수 있었던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8
80%가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고유한 종으로 이뤄져 있어요. 몸 길이가 16㎜에 불과한
초소형
카멜레온부터 7㎝나 되는 대형 하루살이까지 신기하고도 놀라운 동식물이 가득하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물의 보고’라고 부르죠. 하지만 과학자들은 아프리카에서 400㎞나 떨어진 이곳에 어떻게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07
유지하는 적정 각도가 된다.][건국대 박훈철 교수팀이 지난 5월 완성한 장수풍뎅이 모사
초소형
비행체는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지면에서 30°로 정확히 날아간다. 날아가는 비행체를 연속 촬영했다.]2 깃털 자동차새처럼 가볍게 공기저항을 줄인다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는 어디에 가장 연료를 ... ...
우리나라도 달 탐사 나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4
내년부터 우주선을 발사할 2016년까지 4년간 563억 원 정도가 쓰여요. 우리나라는
초소형
위성 개발과 위성이 실릴 우주선 일부 제작을, 미국은 우리나라가 맡은 부분을 제외한 우주선 제작 전체와 발사를 맡을 예정이에요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03
우주과학실험실(Space Science Laboratory) 건물 두채가 서 있다. 올해 우주로 올라갈 한미 합작
초소형
위성(큐브샛) ‘시네마(CINEMA)’가 이곳에서 최종 테스트 중이었다. ‘시네마’는 경희대 월드클래스유니버시티(WCU) 달궤도 우주탐사사업단이 UC버클리와 3년 여 동안 심혈을 기울여 공동 설계하고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03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6월 ‘국민 누구나 우주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초소형
위성 개발 경연대회’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선종호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는 “미국, 유럽, 일본은 대규모 국제 경연대회를 통해 큐브샛을 대중화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모으는 데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02
신개념 추적망원경을 제안했다. 2009년 초미세 전기기계시스템(MEMS, 멤스) 기술을 활용한
초소형
추적망원경 탑재체(5kg)를 러시아의 소형 인공위성 타티아나-2에 실어 발사했다.이 경험을 바탕으로, 2009년부터 감마선폭발의 초기광을 관측하기 위한 본격적인 우주 프로젝트인 유포(UFFO, ‘ultra-fast flash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02
입자(포논)의 움직임을 방해해 열전도성을 떨어뜨렸다.리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
초소형
광전자 소재나 나노구조물 기반의 열전자 소재의 발열을 관리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한 쌍의 나노구조물의 열전도성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도 큰 주목을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01
활발하다. 생물의 내부를 흉내 내는 것은
초소형
비행로봇을 개발할 때 진가를 발휘했다.
초소형
비행로봇의 모델은 바로 ‘파리’. 크기가 작을 뿐 아니라 생물학적 연구도 많이 돼 있기 때문이다.[스위스 로잔연방기술연구소(EPFL)의 다리오 플로레아노 교수팀이 개발한 ‘메뚜기로봇’. 이 로봇은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01
전자광학센터의 조수아 로빈슨 교수팀은 그래핀으로 지름 100nm 정도의
초소형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놀랍게도 트랜지스터 속에는 2만 2000개 이상의 미세구조가 들어있다. 그래핀 속에서 전자는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이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면 지금보다 1000배나 빨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11
개발했다. 스포츠용 팔 밴드처럼 생긴 이 장치에는 팔뚝에 이미지를 투영하는
초소형
프로젝터와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 센서가 달려 있다.이두박근 부분에 밴드를 차고 소형 프로젝트를 켜면 팔뚝에 키보드, 메뉴 등의 그래픽이 뜬다. 사용자가 이미지들을 손가락으로 ‘톡톡’칠 때 발생하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