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
자율
d라이브러리
"
자발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V3도 못 찾은 바이러스, 청소년이 찾았어요
과학동아
l
201205
내용을 읽어보니 놀랍다. KSIA는 지난 1월 청소년 IT 동아리 ‘런치킨’과 ‘YIS’가 뭉쳐서
자발
적으로 만든 동아리다. 이들은 ‘안철수 연구소 V스쿨’을 통해서 만났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요즘은 청소년도 해킹프로그램이나 디도스 프로그램을 쉽게 접할 수 있어요. 문제는 자신이 ... ...
기량 차 줄어드니 4할 타자 사라져
과학동아
l
201205
최근 한국에서 4할대 타자가 나오지 않는 이유를 분석한 과학 논문이 나와 화제다.
자발
적 야구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인 ‘백인천 프로젝트(과학동아 2012년 4월호 기획 ‘웰컴 투 데이터유니버스’ 참조)’는 100여 일간 진행한 연구를 지난 4월 12일 마무리하고 첫 번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백인천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04
‘백인천프로젝트’ 참가자 일부가 모여 논문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SNS를 통해
자발
적으로 모인 사람들이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논문을 쓴다.]웰컴 투 데이터유니버스! 데이터의 공습일상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의 양은 웹과 모바일 환경이 발전하면서 더욱 많아졌다. 지난 1월부터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02
우리가 원하는 것을 개에게 전달할 수 있다.클리커 트레이닝의 가장 큰 장점은 개가
자발
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반려동물이 내가 원하는 것을 알고, 내가 원하는 것을 반려동물이 아는 소통의 순간. 그 짜릿함을 독자 여러분도 느껴 보길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반려동물과 ... ...
과학 강연 나눔 ‘10월의 하늘’ 열려
과학동아
l
201112
해 10월 30일 처음 열렸다. 당시 강연은 물론 기획, 홍보, 당일 현장 진행 등 모든 활동이
자발
적인 참여자 130여 명에 의해 무료로 이뤄졌다. 올해도 96명의 강연자와 120여 명의 진행자, 기획자 등 약 220명의 기부자들이 무보수로 참여해 93개 강연을 만들어냈다. 강연을 들은 학생들의 수는 4000여 명에 ... ...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12
자율계발 활동반’을 만들어 방과후에 과학 세미나도 한다. 학교는 학생들의 이런
자발
적인 활동을 적극 지원한다.예를 들어 2010년에 ‘Scientific Creativity Forum’이라는 과제연구 발표회를 했다. 주로 과학동아리를 중심으로 발표회를 한 것이다. 첫 시행이라 걱정을 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잘했다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11
질량과 스핀이 0인 입자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입증했다. 그런데 대칭성이
자발
적으로 깨진다는 게 어떤 뜻일까?예를 들어 돌고 있는 팽이는 쓰러지기 전까지 팽이 축을 기준으로 원형 대칭성이 있다. 그리고 모든 방향으로 쓰러질 확률도 같다. 하지만 팽이가 쓰러지고 나면 다른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09
책자와 간판을 만들기도 한다. 토미다씨는 “철새를 보호하고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자발
적으로 연구와 조사 활동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이런 조사 활동은 생물 보전에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회가 2007년 일본야생동물보호기금과 함께 만든 ‘나지마 새 휴식섬’이 그 예다. 후쿠오카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07
특정한 책을 읽도록 강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본인이 직접 원하는 책을 골라 읽는
자발
성이 있을 때 수학독서의 효과가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평소 수학에서 관심이 많은 분야가 있다면 관련된 책을 찾아 읽자. 우연하게 읽은 책에 수식이 있다면 수식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는 것도 좋다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06
논문이었기 때문이다.1967년 미국의 스티븐 와인버그는 약한 상호작용의 게이지 대칭성이
자발
적으로 깨지면서 게이지 입자인 W와 Z보손이 질량을 가지게 되는 모델을 발표한다. 이때 전자기력에 해당하는 게이지 대칭성은 남는다. W와 Z보손의 커다란 질량 때문에 약한 상호작용은 매우 가까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