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
자율
d라이브러리
"
자발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08
다른 스타트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공유경제지만,
자발
적인 참여를 지속시키려면 제공자와 사용자에게 분명한 경제적 이익이 따라야 한다는 의미다.실제로 전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집 공유 서비스 ‘에어비앤비’나 차량 공유 서비스 ‘집카’ 등은 제공자와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동아
l
201508
덜었다는 반응이다. 그들은 정말 아인슈타인이 됐을까당시 수강했던 사람들 중 몇몇은
자발
적으로 수학 학습 모임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이 교수의 강의노트를 모아 교재로 만들고, 강연 당시 촬영해 두었던 동영상을 돌려보며 공부한다. 모임을 이끌고 있는 한의사 김제원 씨는 이 교수의 ... ...
[과학뉴스] 전쟁 때 태어난 남아는 건강하다
과학동아
l
201501
있는 시기에는 남아보다 여아가 더 많이 태어난다. 왜 그럴까. 생물학자들은 “여성은
자발
적으로 연약한 남아를 유산시켜 더 건강한 아이를 낳을 여지를 만든다”고 해석해 왔다. 그런데 최근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셰필드대 생물학과 비르피 루마 교수팀은 어려운 시기에 ...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
과학동아
l
201501
특히 전체 다운로드 중 90%가 중국, 대만, 동남아 등 해외시장에서 이뤄졌다. 팬들이
자발
적으로 입소문을 내주는 덕에 지금껏 마케팅도 따로 하지 않았다.“구글 플레이어에 리뷰로 ‘왜 베트남어가 없어요?’라는 댓글이 달리면 ‘번역을 도와달라’고 메일을 보냅니다. 그 중 몇 분이 적극적으로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4
가장 많이 일어난다(26.4%)! 그 이유는 저학년 어린이들에 비해 어른의 보호에서 벗어나
자발
적인 활동이 가능하고 활동범위가 넓기 때문이다.또 수심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없거나, 물살이 빨라지는 곳이 많은 계곡에서 특히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아무리 수영에 자신이 있는 친구라도 안전수칙을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2
com)를 통해 개발이 이뤄졌어. 이곳에 아이디어를 올리면 사람들이 흥미로운 아이디어에
자발
적으로 후원금을 내는 방식이지. 3두들러는 5주 만에 전 세계 2만 6400명이 약 26억 원의 후원금을 내놓아 2013년 킥스타터 도구 부분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해. 꼭 외워야 하는 것은 3D펜으로 입체적으로 써서 ... ...
[과학뉴스] 성인을 위한 19금 과학콘서트, SNL
과학동아
l
201412
영국문화원에서 개최한 과학토크대회 ‘페임랩(FameLab)’의 20~30대 참가자들이
자발
적으로 주최해 만든 행사다.야한 농담은 양념이다. 훨씬 수준 높은 과학을 이야기하면서도, 성인이 공감할 수 있는 비유를 든다는 점이 핵심이다. 김재혁 과학창의재단 연구원은 “초·중·고 학생 눈높이에 맞춰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
수학동아
l
201409
없다.반면에 최근 들어 활성화되고 있는 ‘글을 통한 감정 분석’의 경우, 상대방이
자발
적으로 기록한 글만 수집하면 손쉽게 과거와 현재의 감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은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글이 전세계에서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빅데이터 시대다. 따라서 이런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
수학동아
l
201408
갈 수가 없어요~!러시아 수학자 세르게이 노비코프와 그리고리 마르굴리스가 보기에는
자발
적으로 필즈상을 거절한 수학자들이 ‘배부른 사람들’일 수도 있다. 두 사람은 정부의 반대로 필즈상 시상식에 참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세르게이 노비코프와 그리고리 마르굴리스는 각각 1970년과 197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
과학동아
l
201407
근육세포로 바뀌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이 결과는 당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자발
적으로는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2008년 미국 하버드대 더글러스 맬턴 교수가 직접교차분화를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당뇨병에 걸린 생쥐의 췌장에 있는 외분비세포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