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폐
폐지
근절
퇴치
몰살
멸종
제거
d라이브러리
"
박멸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에 다녀온 옥수수박사 김순권
과학동아
l
199803
맥을 못 추지만 곧 돌연변이를 일으켜 이를 무력화시킨다. 항생제를 가지고 세균을
박멸
하려고 하면 어느 순간에 세균은 돌연변이를 일으켜 항생제에 저항성을 지니게 된다.옥수수도 마찬가지. 다른 저항성을 생각지 않고 스트라이가에만 강한 단일유전자 품종을 개발한다면 처음에는 스트라이가를 ... ...
4. 생명 현상의 통일장 이론 세포 자동자
과학동아
l
199801
'면역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제 네트워크를 돌아다니며 바이러스를
박멸
하고 스스로 살균력을 강화시키는 백신 프로그램도 가능할 것이다. 미래의 네트워크는 세균과 백혈구가 살아 숨쉬는 완전한 생태계가 될 것이 분명하다.노이만으로부터 시작된 인공생명의 목표는 복잡한 ... ...
여름철 해충
박멸
법
과학동아
l
199708
처음 개발된 이래 가정용ㆍ방역용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파리와 모기
박멸
용으로 쓰인다. 다른 살충제보다 효과가 빠르고 휘발성이 높아 자연에서 잘 분해된다. 보건복지부에서 극약으로 지정했기 때문에 약국에서만 판매된다.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들국화의 일종인 제충국꽃에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507
모기 또한 여름철에는 무한정 번식했으므로 농부들은 몇해 여름만 지나면 토끼를
박멸
시킬 수 있다는 희망으로 바이러스 살포를 지속했다.그러나 이러한 농부의 희망은 일부 제한된 지역에서만 성공한 것처럼 보였을 뿐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전체를 대상으로 봤을 때 예기치 못한 결과가 서서히 ... ...
놀라운 기능성 페인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505
만든다.살충도료는 물체의 표면에 도장 건조돼 살충성 피막을 만듦으로써 해충을
박멸
하거나 해충의 성장이나 번식을 억제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방충도료에는 방충효과가 좋고 인체에 해가 없으며 환경에 대한 안정성과 경제성, 피도물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것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살충 ... ...
금잔화, 살충제 발산 해충 격퇴한다
과학동아
l
199501
작용하지 않는 새로운 교활한 놈에게 직면해야 했다.그래서 최근엔 모기를 완전히
박멸
하는 대신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말라리아와 같은 병원균을 옮길 수 없는 모기를 개발하여 대항하려 하고 있다.가령 말라리아 병원체에 저항하는 유전자를 모기에서 찾아 이용하는 방법이나 말라리아 항원에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02
새끼를 먹어치우는 것을 막아준다고 추측하고 있다(이 사실은 우리가 집쥐를 완전히
박멸
해 버리지 못하는 이유를 납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과학자들은 유전자 연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보금자리를 짓는 집쥐의 어미들이 보금자리를 공유하면서 새끼를 돌보는 다른 암컷들고 가까운 친척이라는 ... ...
UN은 메뚜기떼와의 전쟁에서 패배했다
과학동아
l
199402
찾아내는 일을 저해상도의 기상위성에 의존해왔다. 그리고 아프리카나 중동의 메뚜기떼
박멸
조직에 정기적으로 지도를 보냈다. 지도를 받은 지역팀은 이 사막지역에 들어가 메뚜기떼가 번식하기 전에 살충제를 뿌리곤 했다.그러나 이 전략은 성과가 별로 없었다는 게 네덜란드 바게닝겐 대학의 ... ...
아주 작은 악한
과학동아
l
199309
돌아간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사람들은 새로운 약과 살충제에 의해 말라리아가
박멸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살충제에 대한 모기의 저항력과 약에 대한 기생충의 저항력도 커졌다.말라리아 기생충에는 4종류가 있는데, 그 중 프라스모디엄 팔시패럼이라 불리는 한 종류가 ... ...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
과학동아
l
199303
동물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박쥐가 줄어드는 것은 곧 밤에 나돌아다니는 해충의
박멸
이 훨씬 어려워짐을 뜻한다. 예를 들어 전세계적인 박쥐집단거주지인 미국텍사스주의 고사리동굴(Bracken cave)에서 사는 4천만마리의 멕시코똥박쥐들은 매일 밤 2백50t의 벌레를 먹어치우는데, 만약 이들이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