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폐
폐지
근절
퇴치
몰살
멸종
제거
d라이브러리
"
박멸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12
세계보건기구의 치밀한 전략과 전세계적인 협력으로 이제는 유일하게 지구상에서
박멸
된 질병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자.이찬희 교수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텍사스주립대 의대에서 바이러스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주립대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88년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09
조작해서 새로운 구조의 항생제를 개발한다.최근 전세계에서 슈퍼박테리아를
박멸
하기 위한 슈퍼항생제 개발 움직임이 활발하다. 미국의 제약회사인 큐비스트 파머스티컬은 피부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 답토마이신을 생산하는 곰팡이의 유전자를 조작해 답토마이신의 생산능력과 기능을 ... ...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과학동아
l
200808
한 여름만 되면 강남지역 구청 홈페이지는 아파트 단지 정원에서 울어대는 말매미들을
박멸
해 달라는 민원으로 아우성이다. 1. 말매미는 배쪽에 있는 발음근을 수축·이완하면서 진동막을 흔든다.2. 진동막에서 발생한 진동은 매미의 배에서 공명현상을 일으켜 증폭된다.3. 매미는 배를 들어올려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06
지금도 우리 곁에 있다. 바퀴벌레를 멸종시키는 게 불가능하듯, 기생충이 지구에서
박멸
될 날도 여간해서는 오지 않을 것이다. 기생충과 공존하는 것이 인류의 숙명이라면, 기생충에 대한 잘못된 믿음을 버리고 올바르게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그 일환으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03
국내 연구진이 동물에서 수명을 연장시키는 물질을 발견했다.연세대 생화학과 백융기 교수는 2월 2일 “선충에서 수명을 최대 10배까지 연장시키는 노화 조절 ... 이용하면 ‘소나무 에이즈’라 불리는 소나무 재선충이나 작물 해충을 영원히 잠들게 해
박멸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01
알아냈다. 2002년초 무당벌레를 풀어놓아 벚나무깍지벌레를 먹어치우게 했다.- 가장
박멸
하기 어려운 침입종은 무엇인가.쥐다. 섬의 모든 지역에 퍼져있는 데다가 그 수도 어마어마하다. 구석구석마다 쥐약을 뿌리기에는 예산도 만만치 않다. 어떻게 대처할지 지금도 연구가 한창이다. 식물의 경우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07
수많은 전쟁에서 상대편은
박멸
해야 할 박테리아로 지목됐다. 미생물이 덮어쓴 ‘
박멸
의 대상’이라는 오해는 미생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방해해왔다. 미생물이 다른 생물들의 생명활동과 진화에 도움을 주고, 미생물을 중심으로 생물이 공존하고 있다는 주장은 발 디딜 틈이 없었던 것이다.예를 ... ...
네트워크로 해석한 인터넷 대란
과학동아
l
200303
방법이 된다는 사실을 역이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예를 들어 감기 바이러스를
박멸
하고 싶다고 하자. 감기 바이러스의 세포 안에서는 바이러스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신진대사가 일어난다. 신진대사 작용은 네트워크를 통해 일어나고 이 네트워크는 항공노선이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구조를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11
이 두 물질을 암에 걸린 쥐에게 주사해본 결과 큰 암 덩어리도 재발 가능성 없이 완전히
박멸
되는 효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하지만 임상실험 결과 별다른 효능이 입증되지 않아 지금은 거의 잊혀져가고 있다. 미국의 앤더스 암센터에서 진행성 종양환자에 대한 1차 임상실험이 실시중인데 그 효과는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02
복합적으로 작용해 불순물을 잘 걸러내는 것으로 결정된다.고성능 필터는 세균까지
박멸
보통 10미크론(${10}^{-6}$m)보다 큰 먼지나 미립자들은 사람의 코와 기관지를 거치면서 걸러져, 폐에 바로 들어가지 않는다. 하지만 박테리아 크기인 0.3미크론에 가까운 미립자들은 호흡계의 중추기관인 폐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