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마구
가마귀
깜아귀
자조
반포조
효조
크로우
d라이브러리
"
까마귀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09
별그림이 그곳에 있다.동쪽과 서쪽 벽면에 각각 해와 달이 있다. 동쪽 벽에 세발 가진
까마귀
(삼족오)가 그려진 해가, 그리고 서쪽 벽에는 두꺼비가 살고 있는 달이 떠있다. 해와 달에 사는 삼족오와 두꺼비는 중국 고대신화에서 비롯됐다. 이외에도 동쪽에는 역V자 모양의 케페우스 별자리가 있고,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06
사람 말을 따라하는 앵무새, 구관조와 같이 지능이 높은 무리에 속한다. 서양에서
까마귀
를 대상으로 숫자 실험을 한 결과, 4-5살 정도의 어린이와 비슷한 지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가마우지는 깊은 바닷물 속에서 일생 동안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사는데, 자신의 배설물을 바람이 잘 ... ...
도구 사용하는
까마귀
는 오른손잡이
과학동아
l
200405
않을 때 옆에 놓인 갈고리 모양의 철사를 부리에 물고 먹이를 끌어올렸다. 놀랍게도 다른
까마귀
가 베티의 갈고리 철사를 빼앗자 다른 일직선 모양의 철사 끝을 구부려 새로운 갈고리를 만들었다.동물 사회에서 어떤 행동을 할 때 한 방향을 선호하는 예는 극히 드물다. 사람과 가가운 침팬지조차 50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02
청색의 주변을 어둡게 해 청색의 밝기를 실제보다 높게 보이게 했다.고흐의 그림 ‘
까마귀
떼가 나는 밀밭’은 샤갈과 유사한 청색처리에 노란색을 보태어 청색의 채도까지 높인 사례다. 고흐는 강렬한 색채의 사용으로 유명하다. 특히 노랑과 파랑의 대비를 사용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하지만 실제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12
못한다. 따라서 그 종의 특징적인 소리만을 낸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이를 통해 까치,
까마귀
, 방울새, 멧새 등은 태어나자마자 그들만의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다만 아직 소리내기가 서투르기 때문에 부모의 소리를 듣고 기억해 이를 계속 연습한다. 한편 앵무새나 구관조 등의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03
오징어가 새를 잡아먹은 것이 틀림없다. 오징어는 먹물을 품고 있으니 필경 새 중에서도
까마귀
를 먹은 것이리라.예전에는 사물 간의 유사성을 찾아내고 상징을 부여하는 일이 일반적이었다. 오늘날 문학하는 사람들도 이런 작업에 익숙하다. 그러나 예전 사람은 스스로 부여한 상징에 실제적인 ... ...
은하수 사라진 구상성단의 밤하늘
과학동아
l
200210
화살을 한발씩 쐈다. 화살에 맞은 태양은 하나씩 땅으로 곤두박질치며 세발 달린
까마귀
로 변했다. 태양의 실체는 삼족오(三足烏)였던 것이다.그런데 요임금이 옆에서 보자 예가 10개의 태양을 모두 맞출 태세였다. 태양이 모두 사라질 것을 걱정한 요임금은 꾀를 내 예의 화살통에서 화살 하나를 ... ...
도구 사용하는
까마귀
과학동아
l
200209
10번의 실험에서 베티는 9번이나 갈고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칼레도니아 제도에 사는
까마귀
들은 나무나 돌 틈의 벌레를 잡기 위해 나뭇잎이나 가지 등 갈고리 모양의 도구를 이용하곤 한다. 그러나 철사처럼 처음 보는 물건을 재가공해 도구로 이용하는 것은 이번에 처음 발견됐다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05
아니라 두 은하가 충돌해 특이하게 보이는 천체다. 더듬이 천체가 충돌중인 은하라면
까마귀
에게 먹이가 된 곤충의 더듬이처럼 최후를 맞이한 모습일까.더듬이 은하는 우주공간에서 두개의 은하가 움직이다가 피하지 못해 벌어지는 거대한 ‘교통사고’의 현장이다. 지상에 있는 거대망원경으로는 ... ...
새처럼 날개짓하는 초소형 비행기
과학동아
l
200203
것은 아니다. 어느날 새들의 공격을 참다못한 뉴로스 연구원들은 비행기를 쪼아대던
까마귀
와 연싸움을 하듯 싸움을 붙여 승리를 거둔 적도 있었다.로봇새를 개발하느라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다. 김승우 사장은 “로봇새를 처음 날렸을 때는 비행이 아니라 자유낙하였다”고 말했다. 던지기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