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학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성대
뉴스
"
성균관
"(으)로 총 76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기술 개발 황성우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나노일렉트로닉스랩팀 전무와 황동목
성균관
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기존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난 단결정 그래핀을 5c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이끄는 최만수 단장(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 김태일
성균관
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거미의 미세 균열을 모사해 감도를 기존 대비 100배에서 최대 1000배까지 높인 초고감도 센서를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연폴리머 기판 위에 백금 박막을 쌓은 뒤 수 nm ... ...
심장질환 걱정된다면 이 ‘반창고’ 붙이세요
2014.11.24
필요한 심혈관 질환을 감지할 수 있는 반창고 모양의 전자소자가 개발됐다. 방창현
성균관
대 화학공학부 교수와 미국 스탠퍼드대 공동연구팀은 이전까지 고성능 음파 측정 장비로만 잡아낼 수 있었던 미세맥파를 측정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하고 재료분야 권위 학술지 ‘어드밴스드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
2014.11.18
손목 둘레와 같은 곡면 상황에서 1000번을 굽혔다 펴도 효율이 그대로 유지됐다. -
성균관
대 제공 또 빛이 약하거나 태양빛이 비스듬히 비취는 환경에서도 효율에는 변함없었다. 손목 둘레를 감싸는 것과 비슷한 곡면 상황에서 1000번을 넘게 휘어도 효율을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나 기계적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수 있다”고 말했다. 퀀텀닷으로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박남규
성균관
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광자 하나에서 전자 하나를 만드는 태양전지의 경우 효율이 30% 정도인데, 퀀텀닷으로 태양전지를 만들면 광자 하나에서 전자를 한 개 이상 만들 수 있다”며 “이론적으로는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2차원 구조로 투명하면서도 전기가 잘 통하는 특성이 있어 미래 신소재로 꼽힌다. 안종렬
성균관
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지금까지 2차원 구조로만 제작이 가능했던 그래핀을 3차원 입체구조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10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이전에도 그래핀을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선별도는 높아지지만 반대로 저항이 커져 처리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유필진
성균관
대 화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 수준의 기공이 있는 3차원 구조물 틈새에 1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을 맨홀뚜껑 모양으로 낸 고분자물질을 채워 넣었다. 기존 평면(2차원) 구조였던 분리막을 ... ...
전자회로 끊어지면 레이저 포인터로 딱 2분만!
2014.10.15
앞 다퉈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정기·김희탁 교수는
성균관
대 성균나노과학기술원(SAINT) 이승우 교수팀과 빛을 이용한 자기회복 전기회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빛의 편광 방향과 나란하게 움직이는 ‘아조고분자’라는 특수물질과 ... ...
수학과 역사,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2014.10.13
일 수학동아 클리닉 가을학기 두 번째 수업이 열렸다. 주제는 역사 속 수학으로, 이장주
성균관
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조선왕조실록에 담긴 세종의 이야기로 강의를 시작했다. “산수를 배우는 것이 임금에게는 필요가 없을 듯하나, 나는 이것을 알고자 한다.” 조선왕조실록 세종 12년 10월 2 ... ...
[2014 노벨 화학상] 빛의 한계 뛰어 넘은 과학자 3명 공동 수상
2014.10.09
보유하고 있다. 학부 시절부터 석·박사 과정 모두 유 단장의 지도를 받은 김지만
성균관
대 화학과 교수는 “초고 해상도 형광현미경이 널리 쓰이면서 올해 수상의 영예를 안은 것 같다”며 “메조다공성물질도 조만간 2차전지나 태양전지, 연료전지의 전극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면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