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학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성대
뉴스
"
성균관
"(으)로 총 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이유는 우리가 중력상수 G값을 알기 때문이다. 김범준
성균관
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통계물리학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경제/물리 복잡계가 주요 연구 관심분야다. 세상을 물리학의 눈으로 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과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서울과기대 등 주요 공대가 이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서의성
성균관
대 교수는 “학교 차원에서 수십 곳의 기업과 협약을 맺고 있다”며 “학생들의 참여율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창업도 활성화하는 분위기다. 한 예로 이화여대는 3년 전부터 ‘실전 캠퍼스 CEO’라는 과정을 ... ...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아마노 히로시(天野浩·55) 일본 나고야대 교수가 한국을 찾았다. 아마노 교수는 26일 서울
성균관
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구자에게 연구 성과를 다그치지 않는 연구 풍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마노 교수는 대학원생 시절 청색 LED 개발의 단서를 발견한 공로를 ... ...
이종사촌-친사촌, 누가 나를 구해줄까?
2015.02.13
끝에 ‘자(子)’가 붙은 ‘할머니 이름’부터 손녀들의 세련된 요즘 이름까지. 김범준
성균관
대 물리학과 교수는 족보 10편에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해 1920년대부터 1994년까지 국내 여성 이름의 변천사를 분석했다. ● 여성 이름 유행, 길어야 15년 김 교수는 이 기간에 가장 유행한 이름 상위 4 ... ...
앗! 이렇게 작을 수가, 1nm급 반도체 개발
2015.02.09
기판 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안종렬
성균관
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1nm급 반도체 소자를 1cm 크기의 기판 위에 구현하는 데 성공하고 나노분야 학술지 ‘나노 레터스’ 1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삼성전자, 인텔 등 반도체 업계는 10nm보다 더 미세하고 가느다란 ... ...
난치병 ‘중풍’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었다
2015.01.28
조동규
성균관
대 약학대학 교수 -
성균관
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흔히 중풍이라 불리는 ‘뇌졸중’의 중요 발병원인 중 하나인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를 개발 할 수 있는 길을 열 ... 사용 효능. 저해제를 사용하지 않은 좌측 사진은 뇌신경 손상이 커 회백색으로 나타났다 -
성균관
대 ... ...
공학한림원 신입 정회원 30명 선정
2015.01.05
분야(7인) 김재관 서울대 토목공학과 교수 김진근 KAIST 토목공학과 교수 신현목
성균관
대 토목공학과 교수 허준행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 김동수 대림산업 사장 김설주 ㈜태조엔지니어링 부사장 남순성 ㈜이제이텍 대표이사 회장 △화학생명공학 분야(3인)김병기 서울대 ... ...
올해의 바이오뉴스 키워드는 에볼라-기초연구비-나고야의정서
2014.12.21
△ 줄기세포 초기 분화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 개발 - 강종순 (
성균관
대 의대), 김경규 (
성균관
대 의대), 김성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세포 스스로 목숨 끊어 결핵 치료한다 - 조은경 (충남대 의대) △ 비만 조절하는 핵심 수용체 발견 - 김효수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 철 대사를 조절하여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기술 개발 황성우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나노일렉트로닉스랩팀 전무와 황동목
성균관
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기존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난 단결정 그래핀을 5c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이끄는 최만수 단장(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 김태일
성균관
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거미의 미세 균열을 모사해 감도를 기존 대비 100배에서 최대 1000배까지 높인 초고감도 센서를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연폴리머 기판 위에 백금 박막을 쌓은 뒤 수 nm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