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d라이브러리
"
해부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뇌를 실험용으로 손상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대신 뇌질병을 갖고 있었던 사람의 시체
해부
를 통해 증거를 보충하고 있다.한편 동물실험은 '훈련에 의한 뇌기능의 강화'라는 주장에도 힘을 불어넣고 있다. 미로에 갇힌 실험용동물이 빠져나가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면 그들 뇌속의 신경세포들이 보다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생물학에서는 이러한 일이
해부
학적 지식의 발전 현미경의 발명으로 촉진됐다.
해부
학의 발전으로 인체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이 용이해졌고 현미경으로 생물의 기본구조를 밝히는 세포학이 발전된다. 이어서 다윈의 진화연구가 이어지고 생명의 기원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된 것이다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러기 위해서는 시체에 더가까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또 "검시는 단순한 시체
해부
가 아니라 국민의 억울한 죽음을 없게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어 변사자에 관한 한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인력의 확충이 시급하다는 것.외국의 경우 일본에는 각 현마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 무생물체의 운동과 상호작용을 주관하는 역학, 생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생물학과
해부
학 인공지능 로봇공학 등을 모두 수용하는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하려 한다. 영화대본을 집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영화가 만들어져 나오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연구책임자인 젤처교수가 만든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6개의 뜸으로 바느질해 놓은 것이다. 그 직경은 7.23㎝이고 질량은 1백56g이다.헌 야구공을
해부
해 보면 4.5g짜리 코르크 위에 양털 실이 창창 감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가장 바깥 부분은 가죽이다.대다수의 야구 선수들은 공마다 탄력성이 다르다고 얘기한다. 탄력이 떨어지는 공때문에 담장을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적극적인 돌파구를 제시하고 있다. 대뇌비대칭성(hemispheric asymmetry)이란 양측대뇌반구가
해부
학적이나 기능적으로 똑같지 않고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즉 각 반구는 발달과정 중 자연적으로 분화해 각기 다른 특정기능을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낸다. 뇌기능의 비대칭성에 대한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발굴, 다른 공룡의 것과 면밀히 비교해 봐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비교
해부
학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축적돼 있어야 하는데 국내에는 그런 전문지식을 갖춘 척추동물 고생물학자가 아직 없다. 그러므로 신문이나 TV를 통해 여러가지 공룡의 이름들이 전해지고는 있지만 믿을만한 것은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통해 빨리 확립됐다. 특히 동물 실험에 동원돼온 전기 자극, 뉴런의 전기적 활동의 측정,
해부
학적 생화학적 기법들은, 이 기법들이 잘 고안된 심리학적 행동 연구와 동시에 이루어졌을 때 매우 효과적이었다.생물심리학은 행동의 생물학적 기반을 다루는 심리학의 기초분야다. 대부분의 경우 인간과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첫째 단계인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단계에서는 지금까지의 임상학
해부
학 그리고 뇌신경 생리학의 방대한 지식의 정리와 그에 근거한 새로운 실험해석, 분자 생물학이나 생화학에 의한 뇌신경의 미시적인 원리 규명 등이 중요하다. 또 최근 발전이 두드러진 뇌의 내부를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구현은 인간이 창조한 컴퓨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생체시스템이라는 점이다.대뇌의
해부
학적 구조 및 생리적 작용은 요즘 컴퓨터계에서 추구하고 있는 병렬처리 방식에 가깝다. 인간의 고등인지기능을 담당하는 대뇌피질은 수많은 원주형의 모듈(module)로 구성되며, 상호간에 풍부한 피드백 루프로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