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d라이브러리
"
해부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1992를
해부
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보면 어떤 결과를 더 얻을 수 있을까? 자, 이제부터 숫자 1992를 다섯가지 방법으로
해부
해 보자.2. 지도에서 이웃하는 모든 나라가 서로 다른 색깔을 갖도록 하려면 모두 몇가지 색깔이 필요한가? 단 그림과 같이 한 점에서 서로 만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① 3 ② 4 ③ 10 ④ 무한개 3. 여러분은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않기 때문에 신체에 주는 해가 없고 X선과는 달리 수소원자의 분포로 나타나는 새로운
해부
학적 구조를 표현하여 주기 때문에 그 임상적 활용 가치가 높아 그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현재 일반 병원에서는 앞에 설명한 것들 이외에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기, 디지털 X선 촬영장치,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장면을 종종 목격하게 된다.때때로 교활하게 행동하기도 하는 노루가 다른 동물과
해부
학적으로 다른 점은 쓸개가 없다는 점이다.그들은 오래 전부터 수렵의 대상이 돼 왔다. 삼국사기에도 노루를 잡았다는 기록이 자주 나타난다. 그 책에는 고구려 유리왕 2년에 서쪽으로 사냥을 나가서 흰 노루를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시간을 사방에서 오는 압력 속에서 고생하고 있는 것이 발이다.편평족이 허리 아픈 이유
해부
구조로 보면 네발 동물과 사람은 손보다도 발에서 더 큰 차이가 난다. 사람의 발은 26개의 뼈로 구성돼 있고 그외 관절이나 연한 조직들이 잘 연결돼서 엄청난 무게가 나가는 몸을 버틸만큼 튼튼한 받침대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최종판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해부
학적 기능학적 지식을 활용하고 있다.올드필드는 왼손잡이 여성(6%)보다 왼손잡이 남성(10%)을 더 흔히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인구비율에 있어서 뚜렷한 성차(性差)를 보인다는 것이다. 실제로 왼손잡이가 ... ...
인류최초의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은 언어를 구사하긴 했으나 'a u i j k g s ch'등의 발음은 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이같은
해부
학적 검증과정을 통하면 발성 가능성에 대한 것을 어느 정도 검증해낼 수가 있다. 그러나 어떤 언어를 구사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낼 수가 없다. 마리 앙트와네트는 "토타벨원인의 언어는 언어로서 ... ...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그것을 실험으로 확인하여 당시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적었다. '한 마리의 개구리를
해부
하여 그것을 기전기가 놓여 있는 탁자 위에 놓았다. 그런데 내 조수가 외과용 칼 끝을 개구리 다리의 신경에 대는 순간, 관절의 모든 근육이 마치 강렬한 경련이 일어난 것처럼 수축했다. 이것은 기전기의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Nature)에 그와 관련된 논문을 게재했다. 그들은 시조새의 흉부와 날개 및 깃털에 대한
해부
학적 검토작업을 수행, 시조새가 현대의 새와 같이 동력비행(powered flight)을 할 수 있었다고 결론내리고 있다. 또한 제리슨(Jerison)은 시조새 두개골 연구를 통해 시조새가 전형적인 조류의 두개골을 갖고 있을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2 생물의 진화를 입증하는 특별한 예로 흔적기관을 들 수 있다. 보아뱀이나 고래를
해부
해 보면 척추 동물의 엉덩이뼈에 상동하는 뼈를 볼 수 있고 비단뱀이나 보아뱀의 뒷다리에서는 흔적기관을 볼 수 있다. 이 뱀들과 고래 모두가 같은 조상(사지동물)으로부터 진화했다고 생각하면 어째서 이러한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했다. 하지만 현재는 내이(內耳)가 멀미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인간의 내이는
해부
학적 기능적으로 다른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즉 청각기능을 담당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책임지는 전정(前庭)부로 구분된다. 그중 전정부는 세 개의 세반고리관으로 구성돼 있다.멀미를 설명하는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