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팔을 벌린 길이는 신장과 같으며, 두 다리를 신장의 4분의 1만큼 벌리고 팔을 뻗쳐 중지를 정수리 높이까지 올린 다음 원을 그리면 그 중심은 배꼽이 되며, 배꼽과 두 다리 사이의 공간은 정확한 이등변 삼각형이 된다. 다빈치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인체의 외곽에 정사각형과 원을 그려 넣었다 ... ...
- 원은 왜 완전한 도형인가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성질을 만족시킬 때 ‘군’이라고 한다. 수학에는 군의 예가 대단히 많이 존재한다. 정수, 유리수, 실수, 복소수 전체의 집합은 각각 덧셈에 관해 군을 이룬다. (역수를 갖지 않는) 0을 제외한 유리수, 실수, 복소수 전체의 집합은 각각 곱셈에 대해 군을 이룬다. 그리고 도형의 대칭군도 특별한 ...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과학동아 l1999년 12호
- 계속 써 나간다. 그름에서처럼 1-9, 10-18, 19-27 등으로 숫자를 써나가는 순서는 반드시 정수의 배열을 따를 필요 없이 홀수/짝수를 분리해 매겨가더라도 다음 번에 이를 보정해줄 수 있는 수를 써주면 총합이 맞아 떨어진다.4. 팔각진 - 후책용구도, 팔진도, 기책용팔도● 일반원리: 개별 8각형을 하나의 ... ...
- 피타고라스의 음정 이론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올라가면 2배가 되는 등비수열을 이룬다.평균율은 복잡한 무리수의 비를 이용하지만 정수의 비를 이용하는 순정률에서 많이 벗어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5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지는 4도 음정과 7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지는 5도 음정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를 순정률과 평균율에서 비교해보면 ...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과학동아 l1999년 10호
- 그런데 최근에는 머리 양옆 끝의 모난 부분(두정융기)이 많이 돌출했다. 이 현상은 정수리가 낮아진 것이 아니라 양 옆이 높아졌기 때문에 발생했다.그렇다면 두개골 안에 감춰진 뇌에 어떤 변화가 생긴 것은 아닐까. 즉 뇌의 용량이 증가했음을 알리는 간접적인 증거가 아닐까. 흥미롭게도 10여년 ...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싣고 차로 6시간 이상 걸리는 인근 유목민 마을에서 물을 길어왔는데, 그나마 휴대용 정수기로 걸러 꼭 필요할 때만 먹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샤워는 생각할 수도 없었다. 음식은 유목민들에게서 구한 염소와 양을 잡아 아무 양념 없이 물에 삶아 먹는 것이 전부였다. 사막에서 신선한 야채를 ... ...
- 무인도에서 만든 페트병 정수기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오염물질들이 제거된다. 자갈과 굵은 모래, 고운 모래 등을 쌓은 것은 이러한 자연적 정수방법을 축소시킨 것이다.그러면 활성탄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 활성탄은 다공성 물질로 표면적이 넓어 먼지를 비롯한 미세한 물질을 잘 흡착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간장을 담글 때 숯을 ... ...
- 미세한 부유물 잡아내기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사용한 물의 여과, 이온교환수지 통과 등의 과정을 거친다.이전 실험에서 만든 페트병 정수기를 통과한 물을 석회수와 백반으로 처리하면 훨씬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다 ...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얻어진 신호를 다시 정해진 몇 단계의 크기로 만드는 것이다. 말하자면 실수를 정수로 반올림하는 것이다. 영상의 경우 해당 화소의 밝기를 어둠, 조금 어둠, 조금 밝음, 밝음의 4단계 중 가장 근접한 단계로 만드는 것이고 음성의 경우는 0.5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는 0으로, 0.5 이상의 크기를 ...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과학동아 l1999년 07호
- 분야와 연관성을 맺기가 어려운 주제였기 때문이었다. 언뜻 자연수를 다루기 때문에 정수론과 관련되고, 숫자의 조합을 다루므로 조합론에도 맥이 닿고 있지만 피상적인 관련성을 깊이 연결시키는 연구성과는 많지 않다.간단해서 더 어려운 문제KAIST 수학과의 한상근 교수에 따르면, 최근 들어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