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안
창안
발명자
창시
창설
발명품
개발
d라이브러리
"
발명
"(으)로 총 1,759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너무 작아 광학현미경으로는 보이지 않는다.이런 광학의 한계는 전자현미경이
발명
되면서 상당부분 해소됐다. 드브로이의 물질파 이론에 따라 질량이 있는 입자인 전자의 속도를 조절해 수십nm의 파장을 만들어 물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 인플루엔자의 병원체가 바이러스로 밝혀진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필요하다.그런데 상황은 그렇게 낙관적이지 않다. 1947년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가
발명
되며 시작된 전자문명은 이미 그 한계에 도달했다.‘컴퓨터의 두뇌’인 중앙처리장치(CPU) 속도를 더 높이려면 반도체 소자의 회로 선폭을 계속 줄여야만 한다. 인텔사는 나노기술 발전에 힘입어 현재 반도체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표현하는 방법도 잘 알려질 수 없었지. 15세기 중반 독일의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발명
하면서 유럽 전체에 옛날 책들이 대량으로 인쇄됐어. 많은 사람들이 디오판토스의 책을 읽고 미지수를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도 배우게 됐어. 하지만 각 나라에서 미지수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다 보니 혼란이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냈더라도 숫자로서 0을 쓴 것은 바로 인도인이다. 인도인들은 이로부터 새로운 계산법을
발명
하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0을 발견한 영예는 인도인에게 돌아갔다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등의 포식자에게 들키지 않은 채 움직일 수 있다. 흰개미야말로 사람보 다도 먼저 도로를
발명
한 동물인 셈이다. 자연에서 찾아 낸 최고의 재료흐음…. 동물들이 쾌적한 집을 짓는다는 건 알겠어요. 하지만 그래도 자연에 있는 풀이나 흙을 가지고 집을 지어 봤자 거기서 거기 아니겠어요? 과연 동물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바이러스는 크기가 수십~수백nm(나노미터, 1nm=10-9m)에 불과하기 때문에 전자현미경이
발명
되기 전까지는 모습을 볼 수도 없었다. 이런 단순한 생명체가 어떻게 수학적으로 이상적인 구조를 ‘채택’할 수 있었을까.핵산을 감싸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20세기 중반 과학자들은 여러 생화학적 방법을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주장한다. 독서는 뇌가 새로운 것을 배워 스스로를 재편성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인류의 '
발명
품'일 뿐이라는 뜻이다. 그럼에도 책을 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저자는 역사가 낳은 천재들의 이야기와 최신 뇌과학 성과를 통해 조목조목 설득하고 있다.수학의 재미박종하, 송명진 지음 | 랜덤하우스 | 2 ... ...
자동차 안전장치에 숨겨진 원리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자동차의
발명
은 인간 활동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 빠르고 편리하며 접근성이 좋은 자동차는 현대인들의 필수품이라고 불릴 정도다. 더 빨리, 더 강하게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 내는 것이 자동차를 생산하는 사람들의 꿈. 하지만 사고 위험이 늘면서 운전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보호 장비 기술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흡혈귀로 알려진 모기가 의학 연구를 돕는 일부터 태양전지, 나노로봇 같은 여러
발명
품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여름이면 찾아오는 모기가 싫어~ 모기를 피하는 방법 모기향, 살충 스프레이, 모기매트….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는 인간의 노력은 눈물겹다. 최근 미국에서는 날갯짓 소리를 감지해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각종 대회는 수상 실적뿐만 아니라 참가 자체도 성과입학사정관 전형은 올림피아드나
발명
품 대회 같은 각종 대회 수상자들에게 가산점을 주던 기존 특별전형과 다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를까. 한양대 이철우 입학홍보팀장은 “입학사정관 전형은 수치화된 점수를 매기며 평가하지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