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안
창안
발명자
창시
창설
발명품
개발
d라이브러리
"
발명
"(으)로 총 1,7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암호를 찾던 암호전문가들은 암호기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어. 마침내 1918년 독일의
발명
가 슈르비우스와 그의 친구들은 전기로 작동하는 암호기계를 만들었어. ‘에니그마’라는 이름의 이 기계는 암호 역사상 최고의 성능을 자랑했지. 에니그마는 독일군에게 천군만마와 같은 힘이 됐어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양이 소리를 ‘야옹’이 라고 말하는데, 영어권에서는 ‘mew(뮤)’라 고 말한다. 그러면 동서양의 고양이는 서로 다 른 소리를 내는 걸까. 아니면 소리는 같지만 ... 계속 보시려면?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
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소리에 관한 한 아이들은 이미 선이 연결된 상태다. 반면에 문자는 고생스럽게 추가 조립해야 하는 옵션 액세서리다. - 스티븐 핑커방금 세계적인 언어학자인 미국 하버드대 스티븐 ... 계속 보시려면?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톱니 수에 무슨 비밀이 숨겨진 건 아닐까?톱니 모양의 병뚜껑은 아일랜드 출신의 미국
발명
가 윌리엄 페인터의 집요한 노력의 결실로 탄생했다. 그는 1887년 몇 번이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병마개를 먼저 개발했다. 하지만 병마개를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부서지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병에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당나귀는 털이 후덥지근했는지, 처마 밑 벽 그림자에 붙어 있다. 기다란 귀 덕분에 부엌에서 주고받는 엄마아빠의 이야기가 썩 잘 들려왔다. 엄마아빠는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이젠 잡 ... 보시려면?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사방으로 튀는 발파 장면을 속속들이 찍는 카메라가 그 성능을 뽐낸다. 프랑스의
발명
가 다게르가 세계 최초의 사진을 찍은 지 170년이 되는 올해, 카메라의 새 영역을 만들고 있는 ‘개척자들’을 짚어본다.‘꿀꺽’ 삼키는 내시경이단아형 카메라의 대표 주자는 캡슐형 내시경이다. 지름 1cm, 길이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갖춰야 할 자격과 조건은 뭘까.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인 저자는 모든
발명
과 기술 진보 과정에는 연구자가 있었음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는 이공계가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명제 아래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창의적인 연구자가 되기 위한 노하우를 전한다.식탁 위의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표현하는 방법도 잘 알려질 수 없었지. 15세기 중반 독일의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발명
하면서 유럽 전체에 옛날 책들이 대량으로 인쇄됐어. 많은 사람들이 디오판토스의 책을 읽고 미지수를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도 배우게 됐어. 하지만 각 나라에서 미지수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다 보니 혼란이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냈더라도 숫자로서 0을 쓴 것은 바로 인도인이다. 인도인들은 이로부터 새로운 계산법을
발명
하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0을 발견한 영예는 인도인에게 돌아갔다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너무 작아 광학현미경으로는 보이지 않는다.이런 광학의 한계는 전자현미경이
발명
되면서 상당부분 해소됐다. 드브로이의 물질파 이론에 따라 질량이 있는 입자인 전자의 속도를 조절해 수십nm의 파장을 만들어 물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 인플루엔자의 병원체가 바이러스로 밝혀진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