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남부로 가면 벵쿨루에 내리게 된다. 벵쿨루를 상징하는 꽃이 라플레시아인 것은 이 꽃의
사진
이 곳곳에 걸려 있고 공원의 조화(造花)가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벵쿨루에서 동북쪽으로 바리산 산맥을 타고 60㎞쯤 가면 고원에 자리한 소도시 케파히앙이 나온다. 거기서 5~6㎞쯤 더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사진
술이 발달하여
사진
으로 관측대상을 찍어 기록으로 남길 수 있지만 천체
사진
은 일반
사진
과는 달리 여러가지 부속장치와 조작방법이 복잡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아직 어려운 기술이다. 월면의 관측은 육안으로 망원경을 들여다 보면서 달을 스케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스케치를 하면 달의 ... ...
하늘에서 본 한국의 산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한다. 세봉우리 모두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암봉이다.6개월에 걸쳐 우리나라 산의 항공
사진
을 촬영한 김정명씨는 "과거 땅에서 산을 바라볼 때는 칸막이처럼 단순한 평면으로 첩첩이 둘러쳐져 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하늘에서 내려다본 산은 모든 산이 어깨를 걸고 함께 살고 있음을 느꼈다"고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그 자리에서 즉시 호사비오리임을 확인했다."평생 조류를 연구해 왔지만 호사비오리를
사진
으로나마 대하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 새는 학계에서 조차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할 만큼 세계적으로 거의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주로 깨끗한 계곡물에 서식하는데 인적이 드문 민통선의 맑은 ... ...
우여곡절 끝에 텅스텐 필라멘트선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부지런히 자료를 모으고 공장을 견학한 뒤 83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연구에 들어갔다.위
사진
은 85년 3월, 그토록 고대했던 텅스텐 필라멘트선과 몰리브덴선을 우리 손으로 뽑아낸 감격을 기념하고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특수강연구실에서 기념촬영한 것이다. 이 가운데 두 사람은 직장을 옮겼고,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이것의 밝기가 이번달에 극대가 되므로,
사진
을 찍어서 옛날에 찍어놓은 백조자리
사진
과 비교해보면 별의 크기가 커졌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오래된 유성우달이 없는 22일 밤 펼쳐질 거문고 자리의 유성우는 기원전 687년에 중국인에 의해 기록된 것으로, 유명한 혜성 대처(Thatcher)가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하면 관측장소 주변의 습기가 광학계에 이슬을 맺히게 한다. 특히 관측이 아니라 천체
사진
을 찍기 위해 천체망원경에 카메라를 연결하여 장시간 노출촬영을 하는데 대물렌즈에 이슬이 맺히면 무척 곤란하게 된다. 당황해서 수건 등으로 맺힌 이슬을 무리하게 닦는다면 광학계에 손상이 가거나 ... ...
천문관측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수준의
사진
기술과 천문학적인 지식이 필요하다.아마추어들이 기록한 보고서나 촬영한
사진
이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큰 도움을 주는 경우도 종종 있다. 특히 새로운 혜성이 출현했을 때는 아마추어들의 관측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아마추어들은 비록 망원경의 크기는 작지만 그 수가 워낙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전기장을 가하면 재료 특성이 가역적(可逆的)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사진
2)는 전기장을 가하지 않은 경우 전자유동유체가 특정한 배열을 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
사진
3)은 전기장을 가했을 경우 규칙적인 체인형태로 입자들이 배열됨을 보여주고 있다.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 ...
태양
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지평선 근처에 태양이 있을 경우 이 계산된 값에다 2를 곱하면 어느 정도 맞을 것이다. 달
사진
을 찍을 때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후자의 경우(주변의 경치가 주가 되는 경우)는 상황에 따라서 많이 다르지만 보통 태양의 지평고도가 5도 이하일 때는 카메라가 지정하는 셔터스피드에 2를곱하고, ... ...
이전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