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근접해 많은 대기오염물질과 산성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1백페이지 (
사진
1)참조.일본의 경우 1973년 6월 28-29일에 걸쳐 내린 비(pH2~3.5)로 인해 우에노하라 지역주민 4백41명이 눈과 피부에 심한 자극을 받았고, 담배 양파 귤 배추 등이 피해를 입었다는 보고가 있다. 또 1974년 7월 3-4일에 ... ...
젊은 패기로 기고만장했던 시절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과정을 합해 고작 6-7명에 불과했는데, 그 가운데 몇분과 같이 찍은 것이 이
사진
이다.이
사진
속의 정영호 선생(현 서울대 명예교수, 자연보호 중앙협의회 회장)은 당시 생물학과 조교수로, 박상윤 선생(성균관대 교수로 계시다 84년 별세)은 고려대 조교수로 계셨다. 두분 모두 우리 대학원생들의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이온은 먼저 전기장에서 휘고 다음은 자기장에서 휘게하여 같은 질량을 지닌 입자를
사진
건판의 일정한 한 점에 나타나게 하는 방법으로 원자의 질량을 결정한다.이런 방법으로 측정한 ${O}_{16}$의 질량은 15.9949150±0.000002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같은 산소 원자라 하더라도 질량수가 다른 동위원소에 ... ...
3차원 입체 영상의 마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좌우 한쪽 만큼 어긋나게 된다. (a b c d 와 b'c'd'e'). 이 한 패턴 만큼 어긋난 정보가 입체
사진
의 좌우의 화면에 해당하는 두개의 화면이다. 머릿속에서는 a와 b', b와 c'하는 식으로 두개의 패턴이 합성되어 전혀 새로운 정보가 태어난다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많이 수록되어 있다. 태양 표면에서 보이는 흑점은 그 크기와 모양이 가지가지다. 위
사진
은 가장 일반적인 흑점의 모양인데 가운데 2개의 검은 부분을 암영부라하고 주위의 부분을 반암부라한다. 암영부는 흑점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주위보다 아주 검게 보이고 흑점운동의 중심이 되는 곳이라 할 ... ...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높아도 전향력이 작으므로 태풍으로 발달하지 못한다.태풍의 씨 열대 저기압(인공위성
사진
에 포착가능)은 점차 발달하여 중심 풍속이 17m/초에 이르면 태풍이 되어 비로소 이름을 얻게 된다. 태풍의 명명법은 괌 섬의 앤더슨 기지에 있는 미합동태풍 경보센터(JTWC)에서 정해 놓은 남성과 여성의 ... ...
1. 인간의 혈액형은 400가지 이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슬라이드에 놓고 항A와 항B 시약을 떨어뜨려 응집이 나타나는가를 보는 것이다. 36쪽
사진
을 보면 왼쪽 항 A시약을 떨어뜨린 쪽에서는 응집이 일어나고 오른쪽의 항 B를 떨어뜨린 쪽에서는 응집이 일어나지 않는데 이 경우 이 사람은 A형이 된다. 혈청형 검사란 A형인 사람은 항상 혈청중에 항 B항체를 ... ...
모형비행기로 무인 공중 촬영 성공한 김인봉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선정해 여러 각도의 방향으로 비행하며 엑스포 대회장을 촬영했다. 확실히 전보다 좋은
사진
을 얻을 수 있었다. 캠코더 장착도 도전한다"이젠 모형비행기에 캠코더를 장착해볼 예정입니다. 연속 화면을 통해 모형비행기의 비행상태를 좀더 연구한 다음에는 ENG카메라를 장착해볼 수도 있겠죠.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있어 일반인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들이 많다. 그리고 회원인
사진
작가들의 야생화
사진
이 모두 압권이다.이 모임의 회원들은 지난 해 가장 보람있었던 일로 대구전국체전을 꼽는다."정부가 제73회 전국체전의 첫상징화로 산구절초를 지정했어요. 순수 국산꽃중 산구절초가 체전의 상징화로 뽑힌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짧게 해야 한다. 단 위의 노출시간은 하늘의 투명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한장의
사진
당 노출을 여러 단계로 해서 찍어두면 안전할 것이다.옛날사람들은 개기월식을 이용하여 달과 지구의 상대적 크기를 측정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생각해보자. 해답은 다음달에 게재하기로 한다 ... ...
이전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