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픽워드 프로세서 첫 시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제작프로그램인 '글꼴
박사
', 현수막 제작 등 큰 글자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인 '걸개
박사
'를 주요 상품으로 내놓았다. 최근에는 옴니테크에 매직카드라는 하드웨어를 사용해 글자꼴이 미려하게 출력되는 프로그램인 '붓글씨'를 공급한 바 있다.금년 1월에 선보인 그래픽 워드프로세서 사임당은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87년에는 이리듐의 발생원인을 하늘이 아니라 땅에서 찾는 설도 등장했다. 영국의 하람
박사
는 이리듐이 장기간에 걸친 화산활동에 의해 분출됐다는 설도 발표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알바레스 부자의 이론이 가장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최초의 인류는 어디서 태어났나인류학계에서는 '인류의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반도체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는 초미립자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또다른 연구자인 스튜어트 애치슨
박사
는 지난 여름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의 전자광학센터에서 이 소자가 10ps의 속도로 투사된 빛과 같은 시간대에 작동되는 것을 실현해 보인 바 있다. 그는 앞으로 연구가 좀더 진행된다면 속도는 더욱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그 역, 즉 소리가 온도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호플러는
박사
학위논문을 준비하면서 이 생각에 기초하여 대형 냉각기를 고안해 냈다.호플러 휘틀리 스위프트 등은 지금 음향냉각기에 대한 특허를 갖고 있다. 이 냉각기에는 고출력 스피커가 사용된다. 이 스피커는 일반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개선되기 어렵습니다."과학기술인력이 부족하다고 난리법석이지만 정작 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고급인력들은 국내에 일자리가 없어서 못들어오는 실정이라고 한다. KIST도 몇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있는 정원(T.O) 때문에 욕심나는 사람이 있어도 뽑을 수 없는 형편이라는 것.장성도 단장은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계속해 양산기술을 개발할 예정. 이밖에 KIST 금속연구부의 김희중
박사
팀도 자성재료로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아모르퍼스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또한 포항제철 산하 산업과학기술연구소에서 아모르퍼스제조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업측에서는 효성중공업이 변압기 ...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쌓이지 못하고 우주공간에 서서히 흩어져가곤 했다는 것이다.그러나 NASA연구진의 맥케이
박사
는 이 중력론자들의 생각이 오류라고 주장한다. 그는 최근의 인터뷰에서 "과거의 대기는 토양속에 스며들었다"는 자신과 동료들의 견해를 밝힌 바 있다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필수적으로 받게 돼 있는 독성실험을 거치고 있다. 이밖에도 지난 해 화학연구소 김대황
박사
팀이 초강력 제초제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하는 등 신물질 창출행렬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하지만 아스피린처럼 완성된 신물질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세계최초'라는 타이틀과 함께 화려하게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미래를 주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1987년 미국 MIT 공과대학 교수인 스티브 벤톤(Steve Benton)
박사
가 개발한 알코브 홀로그램(Alcove hologram)은 현재 가장 진보된 발명품이다(그림7). 지금까지 설명된 여러 종류의 홀로그램은 단색이다. 레이저는 단파장광선이므로 한가지 색채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밖에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켄달(Henry Kendall)
박사
와 부르킹스재단의 블레어(Bruce Blair)
박사
가 미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의 작년 12월호에 게재한 '우발적인 핵전쟁'(Accidental Nuclear War)라는 논문을 일부 참고한 것이다. 그러나 핵무기에 관 ...
이전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