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식품, 안심하고 먹을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잘라 말한다. 그러나 미국 산업생물공학협회의 알란골드해머
박사
는 "유전공학을 응용해 만든 식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단언할 수 있는 사람도 없다"고 막바로 반박하고 있다.그렇다면 누구의 말이 옳은 것일까. 현 시점에서는 둘중 어떤 사람의 손도 들어줄 수 없다. 이 ... ...
태양주위 감싼 코로나의 신비 벗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일본의 국립천문대와 미국의 마샬우주센터가 연구주체다. 마샬우주센터의 존 데이비스
박사
는 이번에 X선망원경으로 촬영한 코로나의 사진을 가리켜 "지난 20년동안 찍은 사진중 가장 획기적인 것"이라고 치켜세웠다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실제로 옥스포드 대학의 철학자인 프라이스(H. H. Price)
박사
는 아무리 유물론적 세계관을 지지하는 많은 현상들이 존재한다고해도 정신감응이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고 보면, 유물론에 결정적으로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이 틀림없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주장에 ... ...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중 한사람이니 대통령표창이야 그럴 법한 일이라 치더라도 고졸(高卒)의 학력으로 석·
박사
학위소지자도 그 관문을 통과하기 어렵다는 KAIST(한국과학기술원)의 연구원을 한 일이나 은퇴한 전문엔지니어, 교수 등이 초빙되는 것으로 알려진 대기업의 기술고문을 맡고 있다는 사실이 쉽게 믿기지 ... ...
유전자 조작된 동물의 젖에서 단백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관찰하기 어려웠고 대리모를 반드시 희생시켜야 한다는 문제가 따랐다.그래서 헤르만
박사
팀은 소의 난관을 흉내낸 실험실의 배지 안에서 수정란이 며칠간 안전하게 자라게 하는 기술을 개발해냈다.미국의 과학자들은 산양에 기대를 걸고 있다. 실제로 미국 매사추세츠주 소재 튜프트대학 연구팀은 ... ...
80억달러 규모 초전도 가속기계획에 일본 참여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댔다.그러자 다테 교수는 "왜 일본에만 협력을 구하는가"하고 물었다. 이에 대해 하퍼
박사
는 "검출기 등에 관한 일본 기술력이 뛰어나고 일본 같은 경제대국을 우선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이 당연하지 않는가"라고 반문했다.대체로 토론의 주역은 고에너지물리학 이외의 일본 학자들과 미국측이었다. ... ...
하나그림 홈서브 평생비서 오!K 마이글벗+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0(한메소프트) 백신3.52(안철수) 클라이(마이크로 소프트웨어) 좋은날(별빛컴퓨팅) 한글
박사
프로(소프트라인) 캡스터디(삼성전자) 슈퍼새션2.5(황건순) 호롱불(BBS프로그램) 등이 있었다.■ 하나그림/금성소프트웨어PC를 이용해 각종 그림이나 그래프를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 ...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대표할 수 있는 10명의 위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5공때 체신, 과기처장관을 지낸 김성진
박사
가 위원장으로 있다.자문회의는 얼마전 과학기술투자재원의 동원과 활용방안, 원자력행정 등 업무조정방안에 대해 대통령에 건의한 바 있으며 연말께는 기초과학인력, 환경과학분야에 관해서도 건의할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부설된 이중화분'이 바로 그것이다. 발명가는 엉뚱하게도 바이올린 부품제 조업을 하는
박사
홍씨다.박씨는 국가의 경축행사 때마다 도로변에 진열하는 화분의 꽃들이 물주는 시간을 놓쳐 시드는 것을 보고 '요술화분'을 만들어 보기로 결심했다. 그에게는 따로 직업이 있으므로 발명은 취미생활인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공장에서 대충대충 생산한 신소재 1t은 별개일 수 밖에 없다"고 KIST 최주
박사
는 말한다.최
박사
의 지적대로 하나의 그럴듯한 신소재가 개발되면 산업계의 이전되기 전까지 여러 단계의 타당성 실험을 거치게 된다. 대개 10년 이상이 걸려야 비로소 확실하게 빛을 보게 되는 것이다.최근 거의 모든 ... ...
이전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