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까닭
사유
근거
동기
원인
사연
연고
d라이브러리
"
이유
"(으)로 총 11,282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천둥은 동시에 일어나는데 우리가 항상 번개가 치고 난 다음에 천둥소리를 듣게 되는
이유
는 뭘까? 그건 빛의 속도와 소리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야. 소리의 속도는 1초당 340m이고 빛의 속도는 1초당 30만㎞이니까 번개가 더 빨리 생기는 것처럼 보이는 거지.친구들도 학교옥상에 있는 피뢰침을 한번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채굴하는 기술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자신했다.각국이 경쟁보다 협력을 중시하는
이유
는 메탄하이드레이트 층에서 실험을 하다 사고가 나면 그 파장이 크기 때문이다. 연구원이 죽을 수도 있고, 메탄이 대량으로 공기에 분출되거나 해저지층이 붕괴돼 쓰나미가 일어나는 재앙이 발생할 수도 있다 ... ...
해부용 시체 카데바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해부할 때 조심해야 한다.사실 공포영화를 볼 때 머리털이 쭈뼛 서거나 손에 땀이 나는
이유
는 뇌가 느낀 공포감이 피부밑신경을 통해 피하조직에위치한 입모근(立毛筋)과 땀샘을 자극하기 때문이다.피부와 피하지방층을 벗기면 근육과 인대, 힘줄, 뼈, 혈관이 나타나고 이때부터 본격적인 해부가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좋은 남성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이 50% 높다고 밝힌 것.사실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는
이유
는 심장에 있는 심근세포가 서로 협력해서 규칙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전기자극에 따라 심근세포가 규칙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현상이 심장박동이다.심근세포에는 액틴과 미오신이라는 두 ... ...
로마 '트레비 분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수로의 폭이 평균 1.5m로 작은 배가 다닐 수 있을 정도로 크다.수반의 크기가 다른
이유
아쿠아 베르지네 수로는 5~6세기 로마 제국이 몰락하며 일부가 파괴돼 물의 흐름이 멈췄지만 786년 교황 하드리아누스 1세가 복구하며 물이 다시 흘렀다. 이 수로는 로마 북쪽으로 들어와 영화 ‘로마의 휴일’의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대학에서 강연을 하면서 학생들을 만나셨다고 들었습니다. 현장을 자주 찾는 특별한
이유
라도 있으신지요.A 지난 4월 19일부터 6월 1일까지 전국 12개 대학에서 순회강연을 했습니다. 학생들과 만나 과학기술이 얼마나 중요한지, 정부가 이공계 인재를 키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직접 설명하기 ... ...
인간이 서서 걷는
이유
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족보행은 에너지 소모를 줄이려는 전략이란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허만 폰처 교수팀은 인간과 침팬지를 비교 실험해 이족보행이 손이나 팔 관절을 땅에 끌면서 걸을 때보다 신체 에너지 소모량이 25%나 적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침팬지 5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자동차 도안이 어지럽게 흩어져있다. 인천과학고를 졸업한 뒤 KAIST로 진학한 결정적인
이유
는 산업디자인학과에 가기 위해서였다. 미술의 ‘미’자도 몰랐고 예체능 과외 한번 받은 적 없지만 내 손으로 자동차를 만들겠다는 꿈 하나로 도전했다.1986년 KAIST는 당시 이공계 대학으로서는 국내 최초로 ... ...
'뭔 말인지 알지'가 쓸데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당시 여자점원의 외모를 물어보거나 자기의 ‘S’라인 이상형을 말하는 사람이 있는
이유
도 이 때문이다.특히 추상화 과정 때문에 발신자의 메시지가 수신자가 생각하는 메시지 내용과 차이가 난다. 그래서 발신자는 정확히 전달했고 수신자는 정확히 받아들였다고 주장해도 이해의 결과에서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운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운전시간이 300초로 정해진 데는 두 가지
이유
가 있다. 일단 수소 원자핵들이 핵융합하면서 중성자를 대량 방출하기 때문에 300초 이상 운전할 경우 주변 물질들의 방사화가 일어난다. 무엇보다도 핵융합 기초 연구가 목적인 KSTAR로서는 300초로 충분하다. 2015년 ... ...
이전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