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까닭
사유
근거
동기
원인
사연
연고
d라이브러리
"
이유
"(으)로 총 11,282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의 '가출'
이유
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꿀을 모으러 나간 벌이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군집붕괴현상’(CCD)의 원인은 바이러스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 농무부(USDA)의 이안 립킨 박사팀은 CCD가 일어난 꿀벌 집단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벌집에서 ‘이스라엘 급성 마비 바이러스’(IAPV)가 검출돼 IAPV가 CCD의 원인으로 보인다고 ... ...
숨은 키 1cm 결정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사람의 키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발견됐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와 영국 페닌슐라대 의대 공동 연구팀은 영국, 스위스, 핀란드에 사는 백인 3만명의 유전자를 ... 0.3% 가량으로 작은 편”이라며 “연구결과가 어떤 사람은 190cm고 다른 사람은 145cm인
이유
까지는 설명하지는 못한다”고 밝혔다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토리노 대학에 신설된 수리물리학(數理物理學) 강좌의 교수가 되고 중도에 정치적
이유
로 강좌가 폐쇄된 10년 동안(1822년 말부터)과 수학자 A L 코시가 교수가 된 2년 (1830~33)을 제외하고 50년 은퇴하기까지 그 직위에 있었다 원자 · 분자 · 이온 · 전자 · 레디칼 등의 물질입자 1mol 속에 함유되어 있는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철저히 막아야 한다. 다층 페트병이나 차단성이 큰 첨가물이 포함된 페트병이 필요한
이유
다.한사람이 일년에 50병 넘게 써세계적으로 페트병 수요가 급증하면서 환경문제도 부상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일년에 나오는 페트병은 150만톤에 이른다. 병 하나당 페트 30g이 들어간다면 500억병인 셈이다.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보여줄 때가 멀지 않았다. 변종 바이러스의 비밀은 RNA매년 새로운 독감이 유행하는
이유
는 독감바이러스 유전자의 변이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천연두 바이러스 유전자는 DNA로 구성돼있다. DNA복제효소는 자신이 복제한 DNA가 정확한지 점검하는 능력이 있다. DNA를 복제할 때 염기 일부가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알아낸 춘분점의 이동춘분점은 ‘현재’ 물고기자리에 있다. ‘현재’라는 말을 붙인
이유
는 춘분점이 밤하늘에 고정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춘분점은 지구 자전축의 세차운동*때문에 약 2만6000년을 주기로 황도를 한 바퀴 돈다. 72년마다 서쪽으로 1° 움직이는 정도다.춘분점이 고정돼 있지 않다는 ... ...
지구 대규모 생물 멸종은 태양계의 공전 궤도 탓?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지구상에서 발견되는 화석의 수가 갑자기 줄어드는 현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이유
가 우리은하의 중심을 도는 태양계의 궤도가 회전목마처럼 위아래로 진동하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천체물리학지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8월 1일자에 발표했다.지구는 생명체 종의 수가 지난 5억년 동안 620 ... ...
'아이디 2.0' 오픈아이디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점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다.최근 오픈아이디가 주목을 받으며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이유
도 바로 이것이다. 지금 추세로 미뤄볼 때 2~3년 뒤에는 대다수의 사이트에서 오픈아이디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특히 오픈아이디는 인터넷을 통해 일어난 사회문화적인 현상 중 가장 큰 특징인 ... ...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미술품에 대한 위작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진짜’ 명화를 구별하는 기술이 필요한
이유
다.스티커 벗고 나노캡슐 입는다이화여대 나노과학부 최진호 교수는 “이중섭, 박수근 화백이 고유암호를 담은 DNA를 나노캡슐에 담아 물감에 넣은 뒤 그림을 그렸다면 이러한 논란은 없었을 것”이라며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돌파구를 마련해야 할까?아직도 학계에는 초끈이론을 실험적인 검증과 거리가 멀다는
이유
로 신뢰할 수 없다는 흐름이 있다. 와인버그 교수는 이에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비록 실험과 성공적인 접점을 갖지 못한 일은 실망스럽지만, 초끈이론이 대통합을 위한 유일한후보라는 것.우주론과 ... ...
이전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