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2004 노벨상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과학자의 최대 영예인 노벨상이 올해도 변함없이 10월에 발표됐다. 지난 몇년 동안 노벨 과학상이 실용 기술과 융합 연구에 관심을 돌렸던 것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노벨상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냄새를 잘 맡는 사람을 보고 ‘개 코’ 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개가 사람보다 후각이 예민하기 때문이다. 개는 수십만 -수백만가지 냄새를 맡을 수 있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화면보호기가 멋진데! 어디서 다운받은 걸까….’ 계산수학연구실 문을 들어서자 검은 바탕의 모니터 화면에서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하얀 담배연기가 ... 전공을 수학으로 바꾸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이들처럼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견
한 사람들은 누구나 대환영”이라고 덧붙였다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그러나 아쉽게도 나노로봇의 등장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다. 이것이 실현되려면 병소를
발견
하는 바이오센서와 우리 몸에서 이물질로 인식되지 않기 위한 위장방법, 적당량의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나노펌프 등이 먼저 개발돼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나노로봇 개발에 기초가 될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착안된 아라자임처럼 일상의 작은 관찰에서도 얼마든지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발견
할 수 있다. 곤충의 능력을 인간이 조금만 더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면 훨씬 더 신나고 즐거운 세상에서 인간과 곤충이 함께 살 수 있을 것이다.벌레는 평화수호자 종군 벌레에서 환경지킴이 벌레까지 흉측한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유전자를 제거한 암컷 들쥐는 자신의 자손을 나몰라라 하고 팽개쳐 둔다.들쥐에서
발견
된 결과는 사회적, 성적 행위에 신경전달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경회로가 상황에 따라 변하며 암수에 따라서도 서로 다름을 보여준다.하지만 이런 현상이 인간의 경우에도 똑같이 ... ...
KIST 폭발물 제거 로봇 이라크 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밝혀졌다.롭해즈는 주야간 정찰 및 도로에서 폭발물 수색 작전을 펼치며 폭발물을
발견
했을 때 원격 조정을 통해 폭발물을 해체한다. 자이툰 부대는 롭해즈에 물포총을 달아 도로나 건물 주변에 설치된 폭발물을 해체한다.롭해즈는 KIST 지능로봇연구센터 강성철 박사팀이 개발한 것으로 길이 74cm, ... ...
가장 잘 보존된 한국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공룡알 화석이 추가로
발견
됐다.국내에서는 1973년 경북 의성군에서 공룡뼈 화석이 처음
발견
된 이후 경남 합천군과 진주시, 전남 보성군 등 10여곳에서 공룡뼈 화석이 나왔으며 원형의 15%가 발굴된 게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 ...
목소리가 매력적이면 성생활도 왕성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했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목소리의 주인공이 더 활기찬 성생활을 하는 것을
발견
했다고 뉴욕타임스에 밝혔다.연구팀은 1백4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녹음하게 한 뒤 다른 대학생들이 그들의 얼굴을 보지 않은 채 목소리에 대한 매력도를 평가하도록 했다. 또 목소리를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될 것이다.마지막으로 실제 축구공과 똑같이 생긴 나노탄소축구공인 C60, 즉 풀러렌을
발견
한 공로로 1996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리차드 스몰리 교수의 말을 인용하고자 한다. “만약 한 과학자가 어떤 일에 대해서 가능한 일이라고 말한다면 그는 아마도 그 일을 가능하게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 ...
이전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