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수 없었던 우주의 비대칭이 꼬리를 살짝 보여준 것이다.표준이론으로 벗어나는 현상
발견
P대칭성과 C대칭성이 깨졌고, 믿었던 CP대칭성마저 깨졌다. 그러나 CPT대칭성, 즉 C변환, P변환, T변환을 다 할 경우 대칭성이 유지된다는 것은 디랙의 이론에 따르면 필연적인 결과다. 따라서 물리학자들은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하나의 인간 단백질이 몸 안의 여러 곳에서 서로 다른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많이
발견
되고 있다. 히딩크 감독의 축구 전술은 유전자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셋이 모이면 문수보살의 지혜가 나온다’는 속담도 인간 유전자에 적용된다. 여러 개의 작은 단백질이 서로 협력해 새로운 기능을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전에 북부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뼈에서 같은 시대 유럽에는 없었던 성병의 흔적이
발견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아직 과학적으로 논란이 많아 단정하기 어렵다.인종마다 혈액형의 분포는 조금씩 다르다. 한국인 중 가장 많은 혈액형은 A형으로 모두 34%다. 다음으로O형(28%), B형(27%), AB형(11%)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세계에서 가장 젊은 화강암이
발견
된 울릉도 석포동이나 죽도 부근은 관광상품으로 개발할 가치도 있으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것을 제안한다 ... ...
자성측정기 MPMS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성공했고, 1911년 마침내 수은을 액체 헬륨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최초로 초전도 현상을
발견
했다.그런데 모든 물체가 초전도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원소주기율표에 있는 112개 원소 중 30개 정도만이 저온에서 초전도체가 된다. 이 때문에 극한물성팀에서는 자성측정기(MPMS, Magnetic Property ... ...
쌍둥이 도형 만드는 렙타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Q도형과 관련된 퍼즐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 분할 퍼즐의 일종인 렙타일(rep-tile)은 특히 인기가 높다. 렙타일은 주어진 도형을 그와 닮은 도형으로 나누는 것이다. 만약 어 ... 그 반례를
발견
하신 분은 필자에게 메일을 보내주기 바란다. 새로운 렙-4 오각형을
발견
한 경우도 마찬가지 ... ...
초파리서 식욕촉진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먹이의 냄새를 맡을 때 이 신호를 뇌에 전달해 식욕을 촉진하게 만드는 유전자인 sNPF를
발견
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논문은 국제학술지인 ‘생물화학저널’(JBC) 12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유 박사는 “초파리에게 sNPF를 2배 가량 많이 삽입시키자 정상 초파리에 비해 음식섭취량이 3배 늘고 체중이 25% ... ...
태양흑점 주기 농작물 생산 좌지우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생각했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들은 태양흑점 개수와 밀 가격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
했다. 태양흑점 개수가 적을 때 밀 가격이 높았던 것. 이들은 이미 지난해 이와 유사한 연구를 진행해 그 결과를 11월 20일자 ‘뉴사이언티스트’에 발표한 적이 있다. 당시 이들은 17세기 영국의 밀 가격이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탄소나노튜브에 DNA가닥을 붙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전도도가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정 교수는 “추가 실험을 하던 도중 DNA가 단일가닥이냐 이중가닥이냐에 따라서도 전류흐름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는 탄소나노튜브가 바이오센서 소재로 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달팽이 가운데 4종이 시계반대방향의 껍질을 갖고 있다.신체의 비대칭은 조류에서도
발견
된다. 솔잣새는 영문명 ‘crossbill’에서 알 수 있듯이 위아래 부리가 서로 어긋나 있다. 사람으로 치면 덧니가 난 것처럼 보기에도 안 좋은 이런 형태를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 좀더 효율적으로 먹이를 먹기 ... ...
이전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