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30건 검색되었습니다.
쥐의 웃음이 가득한 곳은?
2014.11.16
80%를 관할하는 면역의 중추이자 우리 몸에 사는 박테리아의 99%가 모여 영양소와
에너지
를 주고받는 서식지다. 또 행복 호르몬이라고 알려진 ‘세로토닌’을 비롯해 20여 종의 호르몬을 생산하는 곳이기도 하다. 저자의 여동생이 그린 위트 있는 삽화가 책의 내용을 더욱 명쾌하게 설명한다.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5~100%가량 증가할 수 있다는 식이다. 연구팀은 기온과 강우율을 높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
를 계산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번개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이 예측한 결과와 미국 내에서 번개가 많이 치는 지역의 관측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전 방법보다 더 정확하게 번개를 예측한다는 ... ...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
과학동아
l
2014.11.15
에너지
를 잃으며 형광 빛을 낸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잠깐, 옆에 있는 학생 저한테
에너지
줘 봐요.” 아까 장풍을 쏘는 시늉을 했던 학생 옆자리에 있는 학생이 다시 손을 모았다. 그러자 서 단장이 날렵한 몸놀림으로 의자에서 내려왔다. “이렇게 빛을 두 번 연달아 맞은 분자는 형광 빛을 ... ...
“터치다운! 새 주소는 혜성 67P”
동아일보
l
2014.11.14
필래는 2, 3일 자체
에너지
로 작동하다 이후에는 몸체를 둘러싼 태양전지판에 충전된
에너지
를 쓰면서 최소 3개월가량 탐사작업을 벌이게 된다.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함께 탄생한 혜성의 생생한 지표면 사진을 촬영해 전송하면서 물과 아미노산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혜성의 암석과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가능할 정도라면 부족한 산소를 늘리고 열악한 환경을 복구하는 등 지구를 구하는 데 이
에너지
를 쓰는 게 더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 블랙홀 안에서 바깥으로 정보 전송은 허구 영화에서 통일장이론은 인류를 구하기 위해 꼭 풀어야 할 숙제로 등장한다. 통일장이론은 양자역학과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구조물이 들러붙어 제대로 인쇄가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기존에 사용되던 재료보다 표면
에너지
가 높은 고분자로 주형을 만들어 이런 한계를 극복했다. 이 주형으로는 10nm 정도의 초미세 나노 구조물도 들러붙지 않고 인쇄가 잘됐다. 또 필요에 따라 주형의 표면 접착력을 조절해 사람의 피부를 ... ...
UNIST, 5년 만에 ‘대학의 기적’ 이룬 이유 살펴보니
2014.11.10
했다. 서울 시내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UNIST에 진학한 장해성 씨(친환경
에너지
공학부 3년)는 “새벽에 가막못을 보며 최고의 과학자가 되겠다는 의지를 다진다”며 “입학 당시 학교와 내가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조금씩 실현되고 있다”고 말했다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가속기 상용화에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플라즈마 웨이크필드 가속기는 고
에너지
물리학 연구는 물론 의학과 산업분야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국내 연구진이 금속화합물과 탄소계 물질을 함께 사용해 용량이 크면서도 수명이 긴
에너지
저장 소재를 개발했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용량 ... 기술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에너지
과학 분야의 권위지 ‘
에너지
와 환경과학’ 10월 8일자에 실렸다 ... ...
[사이언스 브리핑] 강성모 KAIST 총장 세계경제포럼 분과위원장 선임 外
2014.11.04
4일 발표했다.
에너지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회인 미국전기화학회는 매년
에너지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원생 중 1~2명을 뽑아 상을 수여한다. 김해겸 연구원은 탄소를 기반으로 한 리튬과 소듐을 이차전지 전극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로 최우수 연구상을 수상했다. 시상은 내년 ... ...
이전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