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뉴스
"
성공]
"(으)로 총 10,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침팬지, 견과류 깨는 능력 개인차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암컷 침팬지가 6살이 된 2004년 견과류를 깨트리는 모습(왼쪽)과 20살이 된 2017년 동일 작업을 하는 모습. Nature Human Behaviour 제공. 침팬지의 견과류 깨기 능력을 비교해본 결과 보다 정확하게 단시간 내 타격에 성공하는 침팬지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들수록 더 잘 깨는 경향도 확인됐다. ... ...
[사이언스게시판] 2024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자랑스런 KFE人' 홍용철 책임연구원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홍용철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2024년 한 해 동안 연구원 발전에 탁월한 공적을 세운 직원에게 수여하는 ‘자랑스런 KFE人 상’에 홍용철 책임연구원을 선정하고 2일 개최한 시무식에서 시상했다고 밝혔다. 홍 책임연구원은 ... ...
홍합에서 영감 얻은 폐암 치료용 나노입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홍합에서 유래한 물질을 활용한 폐암 치료용 흡입형 생체 나노입자가 개발됐다. 폐암 치료의 정밀성과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차형준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의공학전공) 교수, 정연수 화학공학과 박사 연구팀이 조윤기 경북대 첨단기술융합대학 의 ... ...
박테리아 생존 비결 찾았다…새 항생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박테리아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세포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만드는 단백질·인지질 복합제 구조가 규명됐다.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는 데 참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정욱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박테리아 생명 현상의 핵심인 세포 ... ...
새해 첫 국산 CAR-T 치료제 출시 기대…큐로셀 국내 허가 신청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큐로셀 관계자가 키메릭항원수용체-T(CAR-T)세포치료제 관련 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큐로셀 제공 신년에는 키메릭항원수용체-T(CAR-T)세포치료제의 국산화가 이뤄질지 관심이 높다. 환자 자신의 면역세포를 활용하는 CAR-T세포치료제는 기존 항엄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혈액암 등에 효과를 보여 ' ... ...
AI, 해독 어려운 '고대 기록' 해석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2000년 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손상된 헤르쿨라네움 두루마리의 내용을 컴퓨터단층촬영(CT)과 인공지능(AI)으로 복원한 모습. 베수비오 챌린지 제공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그동안 해독이 불가능하거나 까다로웠던 고대 기록 연구가 활발해졌다. AI는 방대한 양의 글을 대신 읽거나 읽을 수 없는 ... ...
그래핀과 초전도체 만남…전극 접합 획기적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그래핀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외 연구진으로 구성된 국제공동연구팀이 그래핀과 초전도 전극의 접합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2차원 초전도 접합 기술로 차세대 전자기기 개발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이길호 물리학과 교수와 와타나베 켄지 일본 ... ...
100년 전 예측 적중…"광선치료 받고 글로벌 방송 시청"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100년전 영국 과학자가 디지털 알람을 듣고 잠에서 깨는 현대인의 일상을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일어나려는 시간에 특정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알람 시계에 의해 호출을 받을 것,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라디오 광선 치료나 마사지를 즐길 것." 100년전 과학자가 예측한 미 ... ...
뇌에서 '희귀 기생충' 제거…종양으로 오인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희귀 기생중 감염증인 스파르가눔증 환자의 뇌에서 발견된 스피로메트라 유충. 서울대병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희귀 기생충 감염증인 스파르가눔증 감염으로 발생한 뇌 염증성 병변 치료 증례를 발표했다. 감염증의 원인인 스피로메트라 유충이 뇌로 이동해 발생한 질환을 정밀 검사로 진단하고 ... ...
면역항암 효과 높이는 단백질 발견…장내미생물서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마이크로바이옴(체내미생물)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면역항암치료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미생물 단백질을 발견했다. 전 세계 660여 명의 면역항암치료 환자의 마이크로바이옴(체내미생물) 유전체를 분석한 성과다. 광범위한 환자군에서 면역항암효과와 연관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